‘뜨다’와 ‘날다’ 티벳어 고찰

2022. 11. 16. 19:35말글경

뜨다날다티벳어 고찰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55>>

 

이미 뜰 부()’날 비()’를 많이 고찰했습니다. ‘뜨다와 한자어 를 붙이면 바로 우리 옛말 합용 병서 ㅳ의 ᄠᅳ다가 나오고, ‘날다에 ㅂ을 붙이면 태고어 ᄟᅡᆯ다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ལྡིང[diŋv/v]=뜨다, 떠돌다, 둥둥 뜨다, 헤엄치다 날다, 나부끼다, 비상하다 매달다

 

 문자 상 소리 표기 : [ldiŋ/ꥦᅵᆼ]인데 원래 ㅵ 의 ㅳ에서 ㅂ이 ㅎ 거쳐 ㄹ 된 단어임을 우리말 옛말 합용 병서를 통해 잘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종성 [ŋ]은 ㄴ,,ㅇ 사이의 음가 ㆁ 에 해당하니 우리말 동사형 어미 ‘-와 일치한다고 보아도 됩니다. 그래서 현 티벳어 소리 은 우리말 둥둥 뜨다과 일치하게 되는 것입니다. 벳어 사전에 없지만 3마디의 표현이 원래 있었고 그것은 바로 --ᄠᅳ다/뜨다인 것입니다. 날다의 경우는 원래 ㅂㆁ에서 ㅳ 혹은 ㅂ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번째 의미 매달다달아매다이니 역시 ㄷ이 같게 됩니다. 이제 우리가 한자어라 알고 있는 비상(飛翔)’의 원래 모습을 고찰해 보겠습니다. ㅂ 다음의 ㅅ은 날 상()’이 됩니다.

 

그래서 영어 단어는 ㅂ의 f 가 되어  뜨다float이고, ‘날다fly가 되는 것이고, 한자어 초성과 영어 단어 초성이 거의 같은 음가에 들어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ལྡིང་ སྐོར [diŋ f kof/ f f]=비상(飛翔), 선회(旋回)

 

문자상 소리 표기: [ldiŋ skor/ꥦᅵᆼ ᄸᅩᆯ], 두 번째 합용 병서 초성 ㅺ/ㅅㅋ에서 ㅅ만 남은 것이 ()’입니다. 이제 우리말, 티벳어, 한자를 참고로 태고어를 추론하자면 바로 ᄠᅳᆼ -ᄭᅳퟛ이란 단어가 나타나는 것이고, -ㅺ에서 ㅂ-ㅅ 된 것이 비상(飛翔)’인 것입니다.

 

우리말 날다의 ㄴ을 넣으면 ᄠᅳᆼ -ᄮᅳퟛ이 됩니다.

 

ལྡིང་ སྐོར་ རྒྱག [diŋ f kof gyaw/ f f w]=비상(飛翔)하다, 선회하며 날다, 빙빙 돌다

 

문자 상 소리 표기: [ldiŋ skor rgyag/ꥦᅵᆼ ᄸᅩᆯ ꥤᅫᆨ], 동사 부분이 보통 우리말의 ‘-하다‘-붸다인데 그에 대응하는 རྒྱག/란 동사형 어미도 있습니다. 우리말 ㅲ의 ㄺ이 문자 상 티벳어 합용 병서가 된 후 소리로 ㄱ만 남은 동사형 어미입니다. ㄱ만 보자면 우리말 ‘-거리다에 해당하는 서술형 어미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