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라 듣다=듣고도 모르다

2022. 9. 6. 22:44우리 옛말 공부

몰라 듣다=듣고도 모르다

'몰라듣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앞뒤 행동 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는 것을 우리 옛말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귀로 듣다이니 우리말은 ㄱ과 ㄷ이 같이 있거나 교차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자어로 귀 이()’이니 ㅲ에서 ㅇ 된 것이고, ‘들을 청()’이니 ㅼ 이 ㅈ/ㅊ 된 것입니다. 우리말 듣다와 한자어 ()’()’만 비교해 보아도 우리말이 선조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로 ear라 하니 ㅲ이 ㅇ 된 것이고, ‘듣다hear은 ㅲ/ㅳ이 ㅎ 된 단어입니다.

 

 

일어 단어로 みみ/[미미]라 훈독하니 ㅲ의 ㅂ의 ㅁ 인 것이고, ‘듣다きく/[키쿠]라고 훈독하는 것은 ㄷ의 ㄱ의 ㅋ이니 곧 우리말 인 것입니다.

 

독어 단어로 Ohr[오어]라고 하는 것은 바로 우리말이 한자어 ()’되는 원리이고, ‘듣다hören[회런]이라 하는 것은 ㅳ의 ㅎ인 것입니다.

 

프랑스어로 oreille[호헤여]하는 것은 역시 ㅲ이 ㅇ 된 것이고, ‘듣다entendre[앙탕드흐]라고 하는 것은 ㅂ-ㄷ이 ㅇ-ㅌ 된 것입니다.

 

의 라틴어 단어는 auris[아우리스]이니 ㅲ이 ㅇ 된 것이고, ‘듣다áudĭo[아우디오]는 ㅳ/-ㄷ이 ㅇ-ㄷ 되어 나타난 단어입니다.

 

힌두어 단어로 कर्ण[카릉]이라 하는 것은 ㄱ의 ㅋ이고, ‘듣다

सुनना[순나]라고 하니 ㅼ에서 나온 ㅅ인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말 귀로 듣다의 ㄱ과 ㄷ 정체만 깨달아도 고대 공용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제 티벳어로 '귀'를

རྣ[na f]

'나'라 하는지 알 수 있는데 우리말 의 ㄱ이 ㄴ 된 것 뿐입니다.

 

만약 지금 한국어에 표준어가 없고 변화를 받아 들일 용기가 있다면, 수 백년 뒤에는 귀로 듣다가 아니라 귀로 낟다가 되는 것입니다.

 

수백 년 뒤에는 귀로 듣다가 아니라 귀로 낟다가 되는 것입니다. 또 수백 년 뒤에는 귀가 귇다가 되는 것이고, 그 다음에는 귀로 귈다다음에는 귀로 귏다/ 귀로 귋다로 될 것이니 고대 언어로 되돌아 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