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ᄌᆡ/명회/도ᄐᆞ랓=명아주

2022. 9. 1. 13:44우리 옛말 공부

명화ᄌᆡ/명회/도ᄐᆞ랓=명아주

'명화':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한해살이 풀의 한 종류입니다. 보기에 한자어 냄새가 있어 한자어라 추리하기 쉽고, 실제 사전에도 그렇게 이해할려고 합니다.

'명아주':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현대 국어 명아주의 옛말인 명화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명화명아주의 의미인 명회’({명회} 1576 신합 상:8)에서 변한 명화’({명화} 1664 유합-5)가 결합한 것이다. ‘의 의미인 라고 보기도 하나 분명하지는 않다. (중략)>>

 

하지만 지금까지 공부했듯이 대부분 한자어는 우리말에서 한자어가 된 것입니다. 그리고 위 자료에 첫 번째 음가 에 대한 한자 제시는 없고, 두 번째의 에 대한 한자로 앞뒤로 끼워 맞추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말이고 합용 병서 ㅁㄷ에서 ㅁ은 명화ᄌᆡ/명회가 되고, ㄷ에서 도ᄐᆞ랓이 되고, ㅁㄷ이 ㄹ 되어 ()’가 되는 것입니다. 다음 ‘-ᄌᆡ의 문제인데 처음에는 저도 채소의 우리말이라고 생각했지만, 이는 의 ㅶ의 ㅈ의 ᄌᆡ입니다.

 

灰菜[회채]라는 한자어로 표현하지만 색깔이나 모습이 하고는 아무런 상관 없는 그냥 우리 고유어 명화ᄌᆡ탈락 후 화ᄌᆡ의 흉내 한자어입니다.

 

일어 단어로 あかざ/[아카자]라 하니 역시 우리말 명화ᄌᆡ의 ㅁ-ㅎ이 ㅇ-ㅋ으로 남고 는 그대로 일치하는 것입니다. ‘을 일어 단어로 くさ/[쿠사]라고 하니 ㅂ 옆에 ㄱ이 고대 추정 합용 병서임을 알 수 있습니다. ㄱ의 영어 단어가 grass이고, 우리말 이기도 합니다. 만약 대신 이 더 보편적인 표준어가 되었다면 혹시 くさ/쿠사grass의 연관성을 추론했을지도 모를 터입니다. ㄲ은 원래 ㅺ이니 여기서 ㅈ/ㅊ 되어 한자어 ()’가 되는 것입니다. ‘명아주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단서가 독일어 단어에 있습니다.

 

 

독일어 단어로 ̣nsefuß[괜스푸스]라 하는데 거위-이란 뜻입니다. 그래서 명아주/도ᄐᆞ랓의 ㅁㄷ은 우리말 거위오리의 ㅁㄷ 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의 독어는 Gras[그라스]인데 우리말 이고, 일어 단어 くさ/[쿠사]이고, 영어 단어 grass입니다.

 

 

프랑스어로 명아주chénopode[케노포드]라 하고, ‘고사리/fougère[푸제어]라 하니 fougère[푸제어]는 역시 우리말 합용 병서 ㅶ이 그대로 ㅍ-ㅈ 으로 나타난 단어입니다.

 

 

라틴어 단어로 명아주chēnŏpódĭum[케노포디움]이라 하고, ‘planta[플란타]라 하니 ㅍ 그대로이고, ‘//목초grāmen[그라멘]이라 하니 우리말 그대로의 의미입니다. 게다가 우리말 의 고어를 /을 추정하고 종성에 ㄱ을 추가하면 꼬ᇑ이 되고, 늘어지면 그라멕이 되고 마지막에 grāmen[그라멘]으로 나타납니다.

 

 

힌두어 단어로 घास[가스]라고 하는 것은 영어 단어 grass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명아주명아거위나 오리 발로서 거위/오리의 초성 ㅁ이 이고, ‘의 ㅂ이 ㅎ/ㅇ 되어 /일 가능성이 높고 이는 독일어 단어에서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또 하나의 가능성은 줄기와 잎에 붉은 빛이 도니 붉다명아일 수는 있습니다.

 

영어 단어 plant식물외에 일 경우 우리말 의 ㅍ이고, 이는 프랑스어 단어 fougère[푸제어]가 더 잘 알려줍니다.

 

 

#

그래서 우리말 풀꼴에 기준을 두고 고대 언어를 라틴어 문자로 적어보면 풀ᄭᅩᆯ/foursgere’이고 r 탈락 후 sg 부분이 g되어 [] 발음 된 것입니다. 우리 한국과 프랑스와의 거리를 고려하고 고대에서 현대까지 시간을 참조하자면 전혀 변하지 않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