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험=마구간

2022. 8. 29. 21:32우리 옛말 공부

멀험=마구간

'멀험':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우리 옛말 멀험에서 마구간(馬廏間)’을 통해 의 의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보금자리를 줄인 것으로 원래는 ᄞᅥᆷ/이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즉 한자어 /보금자리 가()’ 뿐만 아니라 영어 단어 house/home이 우리 옛말 안에도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마구간의 영어 단어는 stable/stall입니다.

 

일어 단어로 うまや/馬屋[우마야]라고 훈독하는데 의 ㅎ이 ㅇ 된 모습이 한자어 ()’이고, 일어 단어 []’인 것입니다. 달리 きゅうしゃ/廏舍[큐유샤]’라고 음독하기도 합니다.

 

독어 단어로 Pferdestall[페르더쉬탈]이라 하는데 의 ㅁㅎ이 Pf 된 것이고, ‘의 ㅼ에서 Stall이 됩니다. /ㅼ에서 ㅈ의 이 되고, ㅺ의 ㄱ이 제주 방언 ‘-거리이고, 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언어의 입니다. 특히 우리말에 ㅲ의 보금자리가 존재하니 의 고어 보금을 잘 보존하고 있는 것입니다.

 

'bocal': 네이버 프랑스어사전 (naver.com)

프랑스 구어체로 bocal[보칼]이라 하는 것은 그냥 우리말 보금자리보금의 ㅂ-ㅋ인 것입니다.

 

'gîte': 네이버 프랑스어사전 (naver.com)

문어체로 gîte[쥐트]라고 하는 것은 우리말 ㅺ이 ㅈ 된 후 나타난 우리말 그대로인 것입니다. ㅂ이 ㅁ 되어 maison[메종]이 되는 것입니다.

 

/본국/dŏmus[도무스]라 하는 것은 ㅼ 중 ㄷ의 라틴어이고, limen[리멘]이라 하는 것은 ㅲ이 ㄹ 된 것입니다. 라틴어 단어 focus[포쿠스]는 바로 우리말 보금이고 프랑스어 bocal[보칼]인 것이고, átrĭum[아트리움]은 ㅲ의 상대 ㅳ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힌디어 단어 भवन[바반/바완]보금의 ㅂ에 해당하고, मकान[마칸]은 바로 ㅂ-ㄱ의 ㅁ-ㅋ 일 뿐이고,

गृह[그맇]이라 하는 것은 우리말 초성 ㄱ에 종성 ㅀ이 그대로 나타난 단어이고,

घर[]은 우리말 ㄱ의 ㅋ 이고, 종성 ㄼ/ㅀ에서 ㄹ만 남은 것으로 고대 한국어 표식 중의 하나입니다.

 

그래서 보금자리의 초성 -ㅺ을 기준으로 ㅁ-ㅈ 된 것이 프랑스어 단어 maison[메조/메종]이고, -() 된 것이 독일어 단어 Haus[하우스]와 영어 단어 house인 것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추정 고대 독일어는 Bhaus이고, 추정 고대 영어는 bhouse였습니다.

그런 후 독어 단어를 살펴보면 Wohnung[보눙]이 나오는데 바로 우리말 보금의 ㅂ-ㄱ이 ㅂ-ㄴ 된 것입니다.

 

ㄱ이 ㄴ 된다는 법칙만 알아도 알 수 있지만 인류사에 깊은 통찰력을 가지지 못한다면 절대 알 수 없는 법칙이기도 합니다.

이는 을 프랑스어 단어로 gîte[쥐트]라고 거의 같은 발음을 하는 대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프랑스어로 cheval[ᄉힵ블]이라 하면 당황스럽지만 ㅯ의 ㅅ임을 안다면 그다지 멀리 있지 않습니다.

 

즉 고대 프랑스어는 mcheval[므ᄉힵ블]이었으리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라틴어 단어로 ĕquus[에쿠우스]라고 하는 것은 ㅁㄱ이 ㅇㄱ 되어 나타난 것으로 원래는 mĕquus[메쿠우스]입니다

 

. 힌두어 단어로 घोड़ा[고라]라고 하는 이유는 앞에서 언급한 대로 ㅁㄱ이 ㅁ 탈락 후 ㄱ만 나타난 것입니다.

 

그래서 빨리 달리는 동물을 ㅂ의 ㅁ의 이라 하고, ‘빨리 나는 새를 ㅂ의 ㅁ의 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