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갓=음식/맛

2022. 8. 27. 13:33우리 옛말 공부

맛갓=음식/

 

'맛갓':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음식(飮食)’의 현재 우리말이 있는데 먹거리이니 옛말 맛갓‘-이란 거리입니다. 우리말 앞의 먹다’ 2가지 의미를 포함합니다. 그래서 ㅁ이 f 되니 영어 단어의 food입니다.

 

영어 단어로 먹다의 ㅁ은 아삭아삭 먹다munch에 있고, 초성 ㅁ이 ㅇ 된 것이 eat입니다. 일어 단어로 음식(飮食)’いんしょく[잉쇼쿠]라고 음독하고, ‘먹거리たべもの/[타베모노]라 훈독합니다. 먹다옆에 ㅅ은 한자어 ()’이 되고, /ㅌ은 타베/타베루가 되는 것이고, ‘거리앞에 ㅂ 있는 ᄇᆞᆶ/ᄒᆞᆶ에서 한자어 ()’과 일어 단어 もの[모노]가 나오게 됩니다.

 

독어 단어로 먹거리/식료품Ẹssbarkeit[에스발카이트]라 하니 essbar먹을 수 있는이고, keit가 형용사 bar에 붙어 명사형을 만드는데 우리말 거리의 ㄱ/ㅋ과 대응할 수 있습니다. ‘요리Gericht[게리히트]라 하는데 먹거리먹다옆에 있는 ㄱ인 것입니다.

 

두어 단어로 식사/음식भोजन[보잔]이라 하니 ㅂ이 나타난 단어이고, ‘먹다/음식खाना[카나]라고 하니 ㅁ 옆에 있는 ㄱ의 ㅋ 이니 독어 단어 Gericht[게리히트]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라틴어 단어로 matérĭa[마테리아]라고 하면 물질/나무/음식물이니 바로 우리말 먹거리의 ㅁ-ㄱ이 ㅁ-/ㅌ 으로 나타난 것이 matérĭa[마테리아]인 것입니다. ㅴ이 ㅇ--ㅋ 되면 esca[에스카]가 되고, ‘식사/식량의 ㅅ에 해당하는 단어는 ㅅ-ㄱ의 sagina[사기나/사지나]인데 식량을 늘이면 ‘sagina[사기나/사지나]가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 초성 ㄱ이 ㅋ 되어 나타난 것이 cĭbus[키부스]/cŭlína[쿨리나]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