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가이=알맞게, 맛갑다/맛것젓다=알맞다, 다ᇰ다ᇰ하다/맛다ᇰᄒᆞ다/맛ᄯᅡᇰᄒᆞ다/맏ᄯᅡᇰᄒᆞ다=마땅하다

2022. 8. 27. 16:40우리 옛말 공부

맛가이=알맞게,

 

맛갑다/맛것젓다=알맞다, 다ᇰ다ᇰ하다/맛다ᇰᄒᆞ다/맛ᄯᅡᇰᄒᆞ다/맏ᄯᅡᇰᄒᆞ다=마땅하다

 

'맛것젖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옛말 초성 ㅁ 앞에 이 붙어 현대어가 되는 것이니 우리말과 일어, 영어 등 모든 언어 사이에 나타나는 이런 현상의 적절한 예가 우리말 안에 있는 예입니다.

 

일어 단어는 소에서 うし[우시]’, 말에서 うま[우마]’, 뫼산에서 やま[야마]’가 되는 것이고, 영어 단어의 경우는 더하다에서 add가 되는 것입니다.

 

영어 단어로 알맞다맛것젓다의 ㅁ이 ㅍ 되어 proper가 되고, f 되어 favour가 되고, ㅅ에서 suitable이 되고, ‘알맞다의 ㅇ-ㅁ이 ㅇ-ㅍ으로 나타나면 appropriate가 됩니다.

 

한자어는 적절(適切)하다/적당(適當)하다이니 원래는 우리말 마땅하다에 그 연원이 있는 것입니다. ‘마땅하다의 옛말에 다ᇰ다ᇰ하다가 있으니 ㅁㄷ-ㅼ에서 -/-된 한자어 초성입니다.

 

일어 단어로 てきする/する[테키스루]라고 음독하거나 てきとうだ/適當[테키토우다]라 음독합니다.

 

독어 단어로 마땅하다/어울리다/걸맞다gebühren[거뷔런]이라 하는데 우리말 걸맞다의 ㄱ-ㅁ이 ㄱ-ㅂ 된 것입니다.

 

힌두어 단어로 अनुकूल होना[아누쿨 호나]라고 하니 알맞은부분이 아누쿨이고, 맛것젓다의 ㅁ-ㄱ이 ㅇ-ㅋ 된 단어인 것입니다.

 

우리 옛말은 ㅁ-ㄱ 으로 나타나지만 라틴어 단어는 áddĕcet[아데케트]의 ㅇ-ㄷ으로 나타나서 dĕcet[데케트/데체트]로 줄어들고, 우리 옛말 ㅁ-ㄱ에서 ㅁ 탈락 후 ㅋ으로 나타난 단어가 quadro[콰드로]인 것입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기다/맛디다/맛티다=맡기다  (0) 2022.08.27
맛갓나다=맛나다  (0) 2022.08.27
맛비=장마  (0) 2022.08.27
맛갓=음식/맛  (0) 2022.08.27
맗/말ᄯᅩᆨ=말뚝  (0) 2022.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