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갓나다=맛나다
2022. 8. 27. 17:58ㆍ우리 옛말 공부
맛갓나다=맛나다
ㅁ 생략 후, 우리말은 ㄱ의 ‘갓’이 남고, 영어 단어는 ㄱ에 상대하는 ㄷ의 delicious가 되고, ㅌ의 tasty입니다. 초성 ㅁ에서 ㅍ 되니 palatable이고, ㅅ은 savory/sweet가 됩니다.
한자어는 ‘맛나다/맛있다’를 미(美)라 하니 우리말 초성 ㅁ 그대로입니다. 일어 단어로 あじがよい/味がよい[아지가요이]라고 하니 ‘맛갓’의 ㅁ-ㄱ이 ㅇ-ㅈ 되어 ‘아지’가 되는 것이고, 이런 연유로 일어 고어를 추정하면 ‘아지가요이’가 아니라 ‘맛갓이 둏다/좋다’인 것입니다.
너무 많이 변하여 알 수 없는 것은 대부분 우리말 초성이 일어 문자 정착 시기 단어에서 초성 ㅇ으로 마무리되었기 때문입니다.
역시 초성 ㅇ의 おいしい[오이시이]와 うまい[우마이]로 남게 되는 연유입니다.
독어 단어는 delikat[데리카트]로 영어 단어 delicious이고, ㅅ은 schmackhaft[쉬막하프트]이고, ㄱ/ㅋ은 köstlich[쾨스트리히]이고, ㅁㄱ/ ㅁㄷ은 ㄹ 되어 lecker[레-컬]이 됩니다.
라틴어 단어는 sápĭo[사피오]이니 ㅁ 옆에 ㅅ 있었던 단어이니 영어 단어 savory/sweet에 해당합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치다=맞히다 (0) | 2022.08.27 |
---|---|
맛기다/맛디다/맛티다=맡기다 (0) | 2022.08.27 |
맛가이=알맞게, 맛갑다/맛것젓다=알맞다, 다ᇰ다ᇰ하다/맛다ᇰᄒᆞ다/맛ᄯᅡᇰᄒᆞ다/맏ᄯᅡᇰᄒᆞ다=마땅하다 (0) | 2022.08.27 |
맛비=장마 (0) | 2022.08.27 |
맛갓=음식/맛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