긋ᄃᆞᆮ다=빨리 끊다

2022. 8. 23. 16:42우리 옛말 공부

긋ᄃᆞᆮ다=빨리 끊다

 

'긋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빨리라는 어감을 넣었지만, ‘끊다의 ㄱ이 ㄱ-ㄷ으로 나타나 ᄃᆞᆮ되었고, 이는 곧 한자어 ()’으로 나타납니다. 초성 ㄱ은 우리말 가르다와 한자어 ()’이 되고, ㄷ은 우리말 도려내다와 한자어 ()’가 되는 것이고, ㅈ은 우리말 자르다와 한자어 ()’이 됩니다. ‘끊다의 영어 단어는 ㄱ의 ㅋ의 cut이 되고, ㅅ에서 sever가 되고,

ㅋ 된 후 묵음되어 knife가 됩니다.

 

 

끊다의 일어 단어는 きる/[키루]라고 훈독하니 우리말 ㄱ의 ㅋ 그대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독어 단어로 자르다/베다/썰다/끊다schneiden[쉬나이던]이라 하니 우리말 ㅴ중 ㅅ만 나타난 독어 단어이고 우리말 썰다에 해당합니다.

 

을 보통 Messer[메서]라고 하지만, ㄷ에서 Degen[데건]이 되고, 특히 //(검의) Klinge[크링어]가 되니 우리말 ㄱ이 ㅋ 되어 나타난 표현입니다.

 

 

 

힌두어 자르다/절단하다काटना[갇나]라고 하니 이는 우리말 끊다가 그대로 힌두어로 나타난 것이고, ‘단검कटार[까달]이라 하니 역시 우리말 /이 나타난 표현입니다.

 

 

'katkaista': 네이버 핀란드어사전 (naver.com)

핀란드어로 절단하다/자르다/끊다katkaista[캍카이스타]라고 하니 역시 우리말 끊다/가르다의 ㄱ이 ㅋ 으로 나타난 형태입니다. 우리말 식으로 하면 /() 끊다/가르다정도 표현을 붙인 것입니다.

 

'काटना': 네이버 힌디어사전 (naver.com)

 

힌두어 단어 काटना[갇나]와 영어 단어 cut[]을 우리말 끊다와 비교해 보면 우리말이 가장 고어 ᄀᆞᆲ/ᄀᆞᆶ에 가까우면서 모두 연결된 단어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역시 이 단어를 통해 ‘()을 가장 먼저 만든 사람들이 고대 한국인임을 추정할 수 있는데 특히 ㅂ의 베다’, ㅅ의 썰다의 ㄱ의 끊다/가르다’, ㄷ의 도려내다’, ㅈ의 자르다의 다양성을 통해 가장 오랜 초성 ㅴ/ㅵ을 지녔다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긔구무/목구무/식구무=목구멍/후두(喉頭)  (0) 2022.08.23
긋기다/헤ᄆᆡ다=헤매다  (0) 2022.08.23
긋재=함께/통째로  (0) 2022.08.23
긋구=글귀, 구절  (0) 2022.08.23
긋=획(劃)  (0)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