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럴ᄊᆡ/그러모로=그래서/그러므로
2022. 8. 19. 13:52ㆍ우리 옛말 공부
그럴ᄊᆡ/그러모로=그래서/그러므로
ㅄ/ㅯ의 분리를 알아야 옛말에서 현대 표준어 변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옛말 세 번째 ‘ᄊᆡ’는 ㅯ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럴믈’에서 ‘그러므로’로 늘어집니다. 우리말 ‘그래서/그러므로’의 ㄱ에 따른 한자어 ‘고(故)로’이고,
ㄱ 탈락 후, 영어 단어는 ㅅ의 so가 되고, 힌두어 सो[소]가 됩니다. ㄱ에 상대하는 ㄷ에서 일어 단어 だから[다카라]가 나오는데 이는 우리말 ‘따라서’에 대응하는 것이고, 영어 단어는 therefore입니다.
독어 단어는 also[알조]인데 ㅲ이 ㅇ 되어 나온 단어이고 힌두어도 초성 ㅇ의 अतः[앝ㅎ]입니다.
이는 ‘까닭’의 우리 옛말 ‘앛’에 해당합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르메너흐리/집게벌에=집게벌레 (0) | 2022.08.19 |
---|---|
그르메/그리메/그림제=그림자 (0) | 2022.08.19 |
그런ᄃᆞ로=그러한 까닭으로, 앛/젼ᄎᆞ=까닭 (0) | 2022.08.19 |
그늘우다=그느르다 (0) | 2022.08.19 |
그놓=노끈 (0)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