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다=불다

2022. 8. 16. 18:24우리 옛말 공부

굴다=불다

'굴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한자어로 불 허()’이니 초성 ㅂ이 ㅎ 된 것입니다. 옛말에 합용 병서 ㅲ 중 ㄱ이 그대로 있는 굴다이니 ㅂ은 불다가 되고, ㄱ은 굴다가 됩니다. 바람을 불어 넣다라는 표현 외에 바람을 굴어 넣다라고 옛말로 표현할 수 있고, ‘바람은 원래는 ᄞᅡ랍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역시 ㅂ과 ㄱ의 분리가 잘 담긴 자료입니다. 한자어 중 불 취()’의 초성 ㅊ은 ㅴ의 ㅺ의 ㅈ/ㅊ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는  거의 그대로 blow입니다.

 

일어 단어로 ふく/[후쿠]라고 하니 ㅂ이 ㅎ 되는 현상으로 한자어 불 허()’에 해당합니다.

 

독어 단어로 blasen[블라-]/wehen[-]/pusten[-스턴]이라 하는 것은 초성 ㅂ에서 나온 것이고, gehen[게언]가다/걷다/출발하다외에 ‘(바람이) 불다란 뜻을 지니는 것은 바로 우리 옛말 굴다의 ㄱ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어로 바람을 ㄱ의 ㅋ의 かぜ[카제]라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말 ‘-의 종성 ㄼ/ㅀ의 ‘-임을 알 수 있으니 갈헤에서 가제’-->‘카제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ㅂ은 독어 단어에서 Brise[브리저]/Wind[빈트]를 거쳐 영어 단어 breeze/wind로 남게 됩니다.

 

영어 단어 blow‘-low’와 우리말 불다/굴다의 종성 ㄹ이 남아 있으니 이 ㄹ/l 표식이 고어 흔적인 것입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허ᇰ =구렁, 거리/골목  (0) 2022.08.17
굴에/된견마=굴레  (0) 2022.08.17
굳/디함=구덩이  (0) 2022.08.16
군마기=국방(國防)  (0) 2022.08.14
골회/골ᄒᆡ/군뎌괴/뎌괴/도래쇠=고리  (0) 202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