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프리다=구푸리다, 구부리다

2022. 8. 13. 10:25우리 옛말 공부

구프리다=구푸리다, 구부리다

 

'구프리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보통 표준어로 구부리다만 알고 있지만, 표준어에 구푸리다가 있습니다. 마치 바람에 우리말 다른 단어를 결합시키면 마파람/휘파람되는 경로입니다. ‘굽다의 동의어는 휘다/숙이다인데 ㅂ에서 영어 단어는 bend가 되고, bow가 되고, 우리말은 ㅂ에서 ㅎ 되어 휘다입니다. ㅼ에서 영어 단어 stoop가 되고, ㅅ에서 숙이다가 되고, ㄱ에서 굽다/꺽다가 됩니다. ㄱ은 영어 단어에서 crook으로 나타납니다. 우리말 휘다의 ㅎ은 영어 단어에서 등이 휘다hunch로 나타납니다.

 

일어 단어로 まげる/げる[마게루]라 훈독하니 ㅲ/ㅁㄱ에서 ㅁ이 나타난 것입니다. 한자어 굽을 곡()’은 우리말 그대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달리 말하자면 우리말 구부리다의 추정 고어는 ꥯᅮ불-ᄧᅳ다인 것입니다. 이렇게 추정해보면 마지막 빙하기 시절 인류 선조들은 합용 병서 단어들로 구성된 언어로 서로 의사소통했을 것입니다.

 

독어 단어는 ㅂ의 beugen[보이건]/bücken[뷔컨]/biegen[비건]으로 일어 마게루의 ㅁ이 나오기 전의 ㅂ입니다. krümmen[크뤼먼]은 ㄱ의 ㅋ이니 우리말 구부리다의 ㄱ이고, 영어 단어 crook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