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읫잫 =관청에서 표준으로 정한 자

2022. 8. 11. 08:19우리 옛말 공부

구읫잫 =관청에서 표준으로 정한 자

 

'구읫잫':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그위':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구의의 옛말은 구븨/구희였고, 더 옛말은 관ᄇᆡᆶ/관ᄒᆡᆶ이었다는 것을 ()’이란 한자어를 통해 추론할 수 있습니다. ‘구의란 우리말이 분명히 있고, ‘/란 우리말이 분명히 있으니 사법행정군사에 대한 제도가 우리에게서 한자어로 흘러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벼슬 관()’으로 새기니 벼슬도 분명한 우리말로서 고대 행정 체계를 먼저 만든 것이 고대 한국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합용 병서 ㅲ에서 ㅂ은 벼슬이 되고, ㄱ은 구의가 되는 것입니다.

 

/의 ㅈ 다음 ㅊ의 ()’이 나오게 되는 것이고, ‘다음에 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영어 단어는 government office/(당국) the authorities이니 ㅲ이 초성 ㅇ된 단어들입니다. 영어 단어를 참고로 구의의 의미는 다스리는 곳이란 의미임을 알 수 있으니 다스리다의 ㄷ에 상대하는 ㄱ으로 영어 단어 government이고, ‘장소/건물/사무소/이란 뜻으로 초성 생략 후 ㅇ이니 영어 단어 office의 첫 철자 o와 동일하게 되는 것입니다. ‘/의 영어 단어는 ruler이니 ㅺ/ㅼ이 r 된 것입니다.

 

일어 단어는 かんちょう/官廳[캉쵸우]라 해서 한자음을 늘인 것이고, しゃく/[샤쿠]는 우리말 ㅈ이 일어 단어에서 ㅅ으로 나니 결국 우리말이 중심이 되어 일어 단어와 한자어가 된 것입니다. 혹은 모범/본보기/정규/란 의미의 じょうぎ/定規[죠우기]정규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독어 단어로 관청Amt[암트]/Behörde[베회-]/Kanzlei[칸즈라-]라고 하는데 벼슬아치들이 있는 곳의 ㅂ은 Behörde[베회-]이고, Kanzlei[칸즈라-]는 한자어 관청과 거의 같은 소리이고, 초성 생략 후 ㅇ의 Amt[암트]가 있습니다. ‘/의 독어는 Lineal[리네알-]이니 ㅺ/ㅼ의 ㄱ/ㄷ이 ㄹ 된 것이고, Maßstab[마스쉬탑]이라 하기도 하니 Maß척도/눈금//치수를 말하는 ㅁ이고, Stab[쉬탑]막대기를 말하니 영어 stick을 말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