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으다, 거두다=모집(募集)하다, 수집(收集)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2021. 11. 11. 19:32우리 옛말 공부

모으다, 거두다=모집(募集)하다, 수집(收集)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ㅴ에서 ㅅ 은 ()’가 됩니다. ㅂ은 ㅁ 되어 모으다가 되고 한자어 모집(募集)’하다가 됩니다. ㅺ에서 ㅈ 된 것이 모을 집()’인 것입니다.

 

티벳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60>>

 

모으다, 거두다=모집(募集)하다, 수집(收集)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ㅴ에서 ㅅ 은 ()’가 됩니다. ㅂ은 ㅁ 되어 모으다가 되고 한자어 모집(募集)’하다가 됩니다. ㅺ에서 ㅈ 된 것이 모을 집()’인 것입니다.

 

티벳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60>>

  སྡུད[du v / v] [བསྡུ བསྡུས སྡུས] =거두다, 집중시키다, 수집하다, 모으다, 찾아 모으다, 저축하다. 문자 상 발음은 ‘sduda/ ᄯᅮ다’, 늘어지면 스두다가 되고 ㅅ 빠지면 현재 티벳어 [v ]가 됩니다. 맨 앞 초성이 ㅯ 이니 ㅅ 은 수집(收集)하다가 되는 것인데, ㅴ 의 ㄱ 이 거두다되는 것입니다. [ ]에는 문자상 발음이 ‘bsdu bsdus sdus/ ᄣᅮ ᄣᅮᆺ ᄯᅮᆺ으로 나는데 원래 발음은 ㅂ 이 있엇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책의 566쪽입니다.

བསྡུ་ ལེན [duv len f / v f] =징수, 모집, 수취

명사형인데 문자상 발음은 ‘bsdu len / ᄣᅮ 렌 ’, ㅵ 이 정확히 남은 문자 표현이고 소리는 ㅄ 이 생략된 ㄷ 만 나타납니다. 우리말 3개 초성이 하나의 초성으로 남는 법칙 그대로입니다. 첫번째는 우리말 모으다에 해당하고, 두 번째는 거두다의 ㄱ이 ㄹ 된 표현입니다.

 

བསྡུ་ ལེན་ བྱེད [du v len f jew/ v f ]=징수하다, 모집하다, 수집하다, 수취하다

동사형인데, 대부분 ‘-붸다를 붙이는데 소리는 ‘-로 납니다. 우리말의 ‘-하다입니다.

 

이렇게 우리말 모음 거둠하다와 한자어 모집(募集)하다는 티벳어 두렌유로 남아서 세계 고대 공용어 찾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거두다/긁다의 ㄱ이 gather, collect 가 되고, ㅲ 은 ㅁㄱ 되어 accumulate 되고, ㅂ이 ㅇ 되어 amass가 됩니다.

모으다대신 거두다혹은 긁어 모으다gather, collect 라 하면 좀 더 쉽게 외우겠다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