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티벳어 고찰

2021. 8. 19. 22:15고대 한국어=티베트어

뿌리티벳어 고찰

 

 

여기에서는 티벳어 뿌리공부를 통하여 ㅺ/ㅼ에서 ㅈ/ㅊ 된 해석을 다시 고찰해보고 다시 ㅶ, ㅉ 되는 과정을 해석해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787>>

 

 

རྕ་བ [ tsa f / f]=1) (풀 나무 따위의) 뿌리 2) 뿌리, 근원, 근본, 근저, 바탕, 기초, 기본

문자 상 소리 표기 [ rtsa b / r ]

 

 

https://blog.daum.net/daesabu/18326476?category=2202909 

 

ㅂ 다음 ㅊ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말 ’바르다‘는 3개 있습니다. ㅂ 다음 ㅺ/ㅼ에서 ㅈ/ㅊ 됩니다. 1)바르다, 참하다/점잖다, 고르다 2) 바르다/ 붙이다, 칠(漆)하다 3) 바르다, 추려내다 ---------------------------------------------.

blog.daum.net

 

이전에 예를 들어 우리말 ㅂ 다음에 ㅊ 이 온다는 것을 설명드렸습니다.

 

그런데 티벳어 '뿌리'''를 보다가 우리말 합용병서 ㅶ 이 생각났습니다. ㅂ을 중심으로 우리말 합용병서는 , , , 이 있는데, ㅴ에서 나온 ㅲ 은 안 보입니다. 우리말 방언 불갱이와 한자어 본근(本根)’을 통해서 ㅲ 의 존재를 추정했습니다. 그런데 우리 옛말 합용병서에 안보이는데 저는 ㅶ 이 바로 ㅴ/ㅲ 의 발현 형태라 보았습니다.

 

ㅶ은 아시다시피 현 우리말에 ㅉ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우리 방언 불갱이와 한자어 본근(本根)’의 ㅲ 이 ㅶ 된 후 다시 ㅉ 된 것이 티벳어 /이라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독어 Wurzel 은 우리말 불갫의 ㅲ에서 ㅶ 되어 부르젤 Wurzel’ 로 나타난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ㅶ 이 티벳 문자로는 ㅂ이 r(혹은 ㅎ을 거쳐) 로 나타나고 ㅈ 만 ㅉ 형태의 소리로 나타나니 원래 티벳어도 /이전에 ᄧᆞᆶ로서 우리말 ㅂ 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https://ja.dict.naver.com/#/entry/jako/f449a9657c9d41a4ac9c2acfffc1b89d

 일어는 한자어로 근()을 쓰고 훈독을 []라 하니 ㄱ의 ㄴ 임을 알 수 있고, 근본(根本)이라 하고 ねもと[네모토]라 하니 불휘의 ㅂ 은 ㅁ, ㅎ 은 토 나타나는 것입니다.

 

https://dict.naver.com/mnkodict/#/entry/mnko/2b4aa0d6cf0a49b6914369aa9a4c971a

 몽골어 язгуур[야즈 고르]도 원래는 에서 브즈’, ‘갱이/ ()’에서 고르가 되는데 ㅂ이 ㅇ 되어 브즈고르’-->‘햐즈고르’-->‘야즈고르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영어는 ㅂ 의 base/basis 와 ㅀ 의 root 가 나오게 됩니다. 물론 종성 ㅀ에서 나온 r 이 아니라 ㅂ/b에서 나온 r 이라해도 됩니다.

 

결국 불갱이/ 본근(本根)’ base/basis root 로 영어에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https://dict.naver.com/rukodict/#/entry/ruko/5977fe4c73d2443e8fcf939f427f08a4

러시아어 корень[코렌]의 ㄱ 이 코, ㅀ이 이 됩니다.

 

https://dict.naver.com/rukodict/#/entry/ruko/d1337115f415497487f3e0d78d82b5f2

комель[코밀]이라고도 하는데 역시 근본의 변음으로 ㄱㅂ 이 ㅋㅁ 됩니다.

 

https://dict.naver.com/hikodict/#/entry/hiko/d2d4f934f4ac4a4fbd53b772dc3c76c1

힌디어로 जड़ []이라 하는데, 발음 기호에 보시면, r 아래 점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말 종성 ㅀ 의 ㅎ입니다. 그래서 이제 우리말 불휘가 ᄋᆀ 인가 잘 알 수 있습니다. ㅲ 혹은 ㅶ에서 ㅂ 생략 후 나온 ㅈ입니다.

 

https://dict.naver.com/hikodict/#/entry/hiko/b6f88f11966e4a5fa89600f334071521

다음 मूल[]이 있습니다. ㅂ이 ㅁ 된 것입니다. 이렇게 힌디어도 우리말처럼 순음 ㅂ/ㅁ을 중심으로 하는 단어와 치음 ㅅ/ㅈ을 중심하는 단어로 나뉘어지는 것입니다.

 

 

https://dict.naver.com/hikodict/#/entry/hiko/bd14004f6f9e478a8a05244dcde91633

कंद[ 칸ㄷ] 라는 단어는 이제 한자어 ()’이라는 것을 잘 알 수 있습니다. 힌두어 칸ㄷ가 한자어 에서 왔다고는 하지 않을 것입니다.

 

https://dict.naver.com/trkodict/#/entry/trko/e4e7ddef0fa54e4f88177af9928319c3

터키어 kök[]도 마찬가지로 ()’, कंद[ 칸ㄷ]처럼 ㄱ/ㅋ 초성이 되는 경우입니다.

 

https://dict.naver.com/trkodict/#/entry/trko/0ba615b2d0a14f859a419b3575a3918c

ㅂ은 ㅁ 되어 menşe[멘세]로 나타납니다.

 

 

https://dict.naver.com/trkodict/#/entry/trko/de059f57042a46bc9eb355b74e91ed7a

ㅴ 은 어디에 있을까요?

başlangıç[ 바스랑기취] =시초, 기원, 처음

 

즉 우리말로는 뿌리의 다른 단어 비롯하다이고 영어에서는 begin 이 된 단어입니다. ㅲ의 본근(本根)하다가 영단어 begin 이라는 것이 놀랍지요?

 

 

 그러면 뿌리/비롯하다다음의 ㅈ/ㅊ 은 처음이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시처음이니 우리말 아시바시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4c2d2154e187420a8e0129e85ac3a0ee

그래서 뿌리/불휘는 핀란드어에 가서 유리가 되는데, 그냥 쉽게 말해서 우리말 뿌리’ -->‘유리가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