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 복습
2021. 8. 7. 12:11ㆍ고대 한국어=티베트어
때 복습
때/ᄣᅢ=དུས[두ㅎ]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510쪽>>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8eb0cdd1ee14fe0afbb2e7d04cc181a
‘때/시간/시기’의 옛말은 ‘ᄣᅢ/ ᄢᅴ/ ᄢᅵ니’입니다. ㅵ은 ㅂ 탈락 후 우리말에 ‘때 time’ 이 되고
ㅴ 은 우리말에서 식사란 의미의 ‘끼니’로 의미 세분화 됩니다. 하지만 ‘ᄢᅴ/ᄢᅵ니’는 한자어에 가서 ‘시간(時間)’과 ‘시기(時期)’가 되는데, 우리말이 ㄷ의 때로 남듯이 티벳어도 ㅄ 탈락 후 དུས[두ㅎ] 로 남게 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6858397e92f40549692db9aff58dc78
북한어 ‘까리’는 종성 ㅀ에서 ㄹ 이 남은 것이고, 티벳어는 문자로 ས 로 남지만 현 발음은 고대 발음으로 돌아가 [ㅎ]가 되는 것입니다.
'고대 한국어=티베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가 왜 티벳어 ‘마모’ 일까요? (0) | 2021.08.08 |
---|---|
달리다 고찰 (0) | 2021.08.08 |
사람, 마니 man 티벳어 고찰 (0) | 2021.08.07 |
범, 호랑이 고찰 (0) | 2021.08.07 |
고맙습니다 티벳어는? [콩딘체], 즉 ‘고맙소/고맙세’ (0) | 2021.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