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심을 식(植) 복습

2018. 3. 20. 08:12환국대동훈민정음

37. 심을 식(植) 복습

 

옛말은 '시므다, 심ㄱ다'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4503500&directAnchor=s248443p158837d215259

 

심ㄱ 의 ㄱ 의 종성 마저 같은 식(植)

 

심는 믈(무리)=식물(植物)

 

 

더 원말은 '싫흟'이고 심음, 심기 란 명사형이 나오고, 심다 동사가 됩니다.  

 

 

흟 에서 예. 암/엄, 재, 가 등이 나오게 됩니다.

 

특히 '심을 가' 는 우리말 '심구다'의 '구' 입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7%A8%BC&cp_code=0&sound_id=0

 

심구다=식가(植稼)

 

 

1. 일어 우에루, http://jpdic.naver.com/entry/jk/JK000000006458.nhn

 

즉 ㅅ 의 생략 , 우에루

 

서양 제어에서 초성이 생략되 듯 초성 ㅅ 이 빠지니 알 수 없게 됩니다.

 

2. trồng [쫑]

http://vndic.naver.com/#/entry/viko/1401460

 

이는 우리말 '싫'에서 ㅅ이 ㅈ, 종성 ㅎ 이 ㅇ 된 것입니다.

 

3. 몽골어 суулгах[suulgakh][술갘흐]

http://mndic.naver.com/#/entry/mnko/1837495

 

싫흟 에서 실이 술 , 흟흐=각흐

 

동사인데, X 가 ㄱㅎ 이고, 곧 우리말 동사 -다 입니다.

 

4. 라틴어 semino[세미노],

insemino[인세미노]

 

http://ladic.naver.com/#/entry/lako/564114

 

 

시무다 그대로 세미노, 안으로 시므다, 인세미노

 

우리 원말 흐 가 우리말에서 다, 라틴어에서 -노, -도 등으로 나타납니다.

 

 

ㅂ 에서 플란토 planto

http://ladic.naver.com/#/entry/lako/573512

 

우리말은 'ㅅ부리다' 로 나타났는데, 라틴어는 ㅂ 이 심다로 나타납니다.  

 

5. 영어는 sow[소우]가 심다이고,

독어는 setzen[제젠] 입니다. plant 는 ㅅㅂ 중 ㅂ 의 플랜트

 

 

영어 sow 는 뿌리다와 심다 로 동시에 나타납니다.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c669d9585ba745148cddf1cf38d34219&query=sow

 

 

그러니 우리말 뿌리다는 플랜트 plant,

심다는 쏘우 sow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조 곡식 복습  (0) 2018.03.22
38. 밀과 보리 복습   (0) 2018.03.21
36. 씨 뿌리다=파종 복습   (0) 2018.03.19
35. 씨 종 복습   (0) 2018.03.19
34. 갈 경 복습   (0) 2018.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