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9. 18:00ㆍ환국대동훈민정음
35. 씨 종 복습
보시다시피 옛말에 'ㅄ' 으로 남아 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4454000
ㅂ시를 심다, 뿌리다
특히 심마니어 '달' 이 특별한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739300&directAnchor=s89041p56799d124908
ㅄ 옆에 ㄷ 이 있었다는 것을 증언합니다.
물론 종성에도 ㅀ 이 있다가 ㄹ 만 붙어 있는 것이 달입니다.
씨흘에서 씨알, 씨앗 이 되기도 합니다.
사람에게는 씨족의 씨, 여기서 한자어 씨(氏)가 나오고,
ㅄ 에서 ㅅ의 ㅈ, 종(種)
다음 ㅎ은 그대로 핵(核)이 됩니다.
영어는 seed[씨드] 누구나 알수 있습니다.
1. tane[타네], 씨의 일어 '타네'를 보면 당연히 무슨 말인가 모릅니다.
하지만 심마니어 '달'을 보셨듯이, ㄷ은 타, ㅀ은 네입니다.
http://jpdic.naver.com/entry/jk/JK000000054905.nhn
2. 몽골어 ур[ur][울]
http://mndic.naver.com/#/entry/mnko/1842178
ㅄㄷ 모든 초성이 사라지고, 흘의 ㅎ의 ㅇ, 울이 나옵니다.
결국 우리말 씨알의 알과 같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3. 베트남어 hạt[핱]
http://vndic.naver.com/#/entry/viko/1371533
우리말 흟 로서 알로 변화 되기 전입니다. 한자어로는 핵(核)입니다.
4. 인도네시아어 benih[브니]
http://iddic.naver.com/#/entry/idko/409687
보통 사람은 알 수 없습니다. 이것은 ㅄ의 ㅂ의 브 이고, 발음 ㅀ 의 nih 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h 는 발음이 안나고 있습니다.
biji[비지]
http://iddic.naver.com/#/entry/idko/410585
특히 더 중요한 것은 비지인데, 우리말 ㅄ 이 분리되면서 ㅂㅈ, 즉 비종(種)이 된 것입니다.
biji[비지]:seed, bean, grain, kernel, nut, pit
그리고 구글 번역기 풀이에는 bean 도 나타나니
ㅂ시앗 종류 중에 큰 것으로 콩이니, 빈 bean 인 것입니다.
5. 태국어 เมล็ด[Mel̆d][멜렏]
이것은 ㅂ 의 변음 ㅁ 이고,ㅀ은 ld 가 됩니다.
우리 옛음을 모르면 찾을 수가 없습니다.
6. 힌두어 बीज[비즈]
http://hidic.naver.com/#/entry/hiko/1063381
역시 인도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우리말 ㅄ 에서 나온 ㅂㅈ 입니다.
7.터키어 tohum[토훔]
http://trdic.naver.com/#/entry/trko/1460353
우리 심마니어 '달' 을 알아야 '닳흠' 에서 '토훔'이 됩니다.
çekirdek[세킬뎈]
http://trdic.naver.com/#/entry/trko/1445335
ㅄ의 ㅅ의 세, ㅀ 은 교차 킬, 달은 뎈 입니다.
8. 러시아어 семя[세먀]
http://rudic.naver.com/#/entry/ruko/273572
ㅄ에서 ㅅ의 세, ㅂ은 ㅁ으로 먀
9. 라틴어 semen[세멘]
http://ladic.naver.com/#/entry/lako/579645
10. Samen[자먼]
http://dedic.naver.com/#/entry/deko/2760593
우리말 씨가 한자어 '종' 이 되듯
라틴어 세멘이 독어에서 자먼 이 되는 것입니다.
'ㅂ싫' 이 세멘으로 된 상황입니다.
# 삼척동자도 다 알만한 '씨 종' 의 분파이지요.
11.궁금해서 아프리카 스와힐리어도 살펴 봅니다.
mbegu[(ㅁ)베구]
http://swdic.naver.com/#/entry/swko/2610120
즉 ㅄ 중 ㅂ 만 남게되고 ㅀ 에서 ㅎ의 후, 구 입니다.
누가 보아도 원조는 한국이지욯...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 심을 식(植) 복습 (0) | 2018.03.20 |
---|---|
36. 씨 뿌리다=파종 복습 (0) | 2018.03.19 |
34. 갈 경 복습 (0) | 2018.03.18 |
33. 밭 전 복습 (0) | 2018.03.18 |
32. 기린 복습 (0) | 2018.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