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9. 19:52ㆍ환국대동훈민정음
36. 씨 뿌리다 =파종(播種) 복습
옛말은 'ㅅ브리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4547500&directAnchor=s248363p480836d538398
'ㅅ븛흠' 에서 '뿌림, 뿌리기' 명사형이 나오고,
'뿌리다' 동사가 나옵니다.
방언으로 '가무치다' (경상)도 있으니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01600&directAnchor=s5187p3249d73554
ㅅㅂ, ㄱㅁ 등이 다 들어 있는 표현입니다.
그래서 한자어에 '뿌릴 신, 살, 쇄'가 나오게 되고,
씨뿌릴 시 는 씨와 뿌리다의 ㅅ 에 모두 걸치는 시가 나오게 됩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4%85%B2&cp_code=0&sound_id=0
기 는 앞에서 검토한 경상방언 '가무치다'의 가의 기 입니다.
뿌릴 파, 물 뿌릴 발 도 ㅂ에서 나온 음가지만, 특히 뿌릴 분은 우리말 그대로입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5%9D%8B&cp_code=0&sound_id=0
영어는 spray 스프레이, 씨를 뿌리면 sow[소우], 그리고 또 하나의 한자어 '살포(撒布)'
(복습)
http://blog.daum.net/daesabu/18311909
1.
種まき[Tanemaki][타네마키], まく[마쿠]
뿌리다의 ㅅㅂ 에서 ㅂ 의 ㅁ, 흘에서 쿠
http://jpdic.naver.com/entry/kj/KJ300054763006.nhn
2. 몽골어
타랠라흐, 즉 '달흟' 에서 타랠라흐
http://mndic.naver.com/#/entry/mnko/1838634
3. 베트남어 gieo giống[지에 종]
http://vndic.naver.com/#/entry/viko/1370296
gieo[지에]=뿌리다
http://vndic.naver.com/#/entry/viko/1370292
ㅅㅂ 에서 ㅅ 의 ㅈ
4. 인도네시아어 awur[아우르]
ㅅㅂ 이 모두 사라지면서 aw-
http://iddic.naver.com/#/entry/idko/1463194
5. 힌두어
बीज बोना[beej bona][비즈 보나]
http://hidic.naver.com/#/entry/hiko/1063608
뿌리다의 ㅂ 에서 보나
6. 라틴어
sero[세로]
http://ladic.naver.com/#/entry/lako/580115
ㅅㅂ 의 ㅅ 의 세로
7. 독어säen[제엔]
ㅅㅂ 에는 ㅅ 의 ㅈ 입니다.
8.스페인어
http://spdic.naver.com/#/entry/esko/2920655
에스빠르시르 esparcir
흩ㅅ부리다 , 거의 그대로입니다.
9. 러시아어
сеять[seyat'][세야트]
http://rudic.naver.com/#/entry/ruko/273671
ㅅㅂ 에서 ㅅ의 세야트
비세프
http://rudic.naver.com/#/entry/ruko/221758
ㅄ, ㅅㅂ 이 어울려 비세프
파세프
http://rudic.naver.com/#/entry/ruko/261606
파종과 비슷한 음이 나오게 됩니다.
아프리카로 가보겠습니다.
10. 스와힐리어
panda[판다], ㅂ 의 판다 , 즉 한자어의 파(播)
http://swdic.naver.com/#/entry/swko/712424
sia[시아], ㅅㅂ 중 ㅅ
http://swdic.naver.com/#/entry/swko/713718
우리말 ㅅㅂ 이 분리되어, panda 와 sia 로 잘 나타납니다.
11. 폴란드어 wysiać [브샤치]
http://pldic.naver.com/#/entry/plko/938470
ㅅㅂ/ㅄ 에서 브샤치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 밀과 보리 복습 (0) | 2018.03.21 |
---|---|
37. 심을 식(植) 복습 (0) | 2018.03.20 |
35. 씨 종 복습 (0) | 2018.03.19 |
34. 갈 경 복습 (0) | 2018.03.18 |
33. 밭 전 복습 (0) | 2018.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