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조 곡식 복습

2018. 3. 22. 18:59환국대동훈민정음

39. 조 복습


먼저 실증 자료를 보겠습니다.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192041


기원전 4천년전, 지금 부터 6천년전-개인적으로는 더 올라갈 수 있다고 봅니다.-

각설하고 '조' 의 흔적이 분명하게 나왔다 합니다.


이 토기는 물고기를 담은 것이 아니라 곡식을 담은 것입니다.


최대 만 3천녀전, 제주도를 중심으로 만 2천년전에 곡식을 담은 토기가 있습니다.



1. 한국어 '좋'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677300&directAnchor=s348155p222672d274522


표준어 좋의 ㅎ 이 분명하게 나옵니다.


다음 방언입니다.


조이 (강원, 함경)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334400&directAnchor=s339989p404326d471030


우리 표준어 '좋'이 '조히' '조이'가 되는 분명한 경로를 보여 줍니다.


히가 비로 납니다.


조비(경상)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248900&directAnchor=s345451p220930d273316



보셨다시피 지금까지 공부가 정확히 나옵니다.


다음 ㅈ이 ㅅ 으로 변하고  방언 '서숙' 이 나옵니다.(경기, 경상, 전라, 충남)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0816400&directAnchor=s210792p134752d193729


결국 한자어 '서속(黍粟)'이 나오게 됩니다.



한자어 서속에서 우리 방언 '서숙'이 나온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경남 방언에는 ㅅ 에서 ㅈ 으로 가는 '잔수'가 잘 나타납니다.


잔수 (경남)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011100&directAnchor=s325820p208451d259199



2. 일어 粟[아와]Awa


우리말 초성이 모두 사라진 경우입니다.


3. 인도네시아 jawawut[자와웃]


http://iddic.naver.com/#/entry/idko/603528


좋/ 조비 가 거의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4. 몽골어  


шар будаа[shar budaa][샬 부다]


샬 부분이 조, 잔수, 서숙


부다는 밥/반

http://mndic.naver.com/#/entry/mnko/1822232


듣고 보셨지요. 보따 будаа


# 우리말 밥(반), 중어와 같고 몽골어는

보따, 영어는 빵과 푸드 food


5. 힌두어  जौ[jau][죠]barley, millet


구글 번역기, 우리말이 정확히 나옵니다.


जुआर[juaar][주아르],

조알(맹이)이 정확히 나옵니다.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 기장   (0) 2018.03.22
메, 밥, 메시, 반, 바따, 빵, 푸드   (0) 2018.03.22
38. 밀과 보리 복습   (0) 2018.03.21
37. 심을 식(植) 복습   (0) 2018.03.20
36. 씨 뿌리다=파종 복습   (0) 201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