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11. 11. 13:29ㆍ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불교문자(범자)와 한글 비교 -닮은 문자를 중심으로
불교문자와 한글은 언듯 보면 달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많이 닮았습니다.
닮은 문자를 중심으로 보겠습니다.
[카,ka]
이 문자는 우리 한글 “ㅋ” 에 중간선을 이어 “ㅏ”자 흘려 “ㅣ” 와 “ㅏ”의
중간 모습이 됩니다. 한국불교문자로는 [ㄱ]으로 읽기도 합니다.
[마,ma]
이 문자는 우리 한글“ㅁ”의 오른쪽 선이 길게 그어 내린 듯 합니다. ㅁ 에 ㅏ
를 겹친 것이지요.
[다,da]
이 문자는 [ㄷ]계열 5개 문자 중 하나입니다.
우리 한글 “ㄷ”을 부드럽게 하고 ㅏ를 겹친 것이지요.
재미있는 것은 위 모양의 방향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영어 D [ㄷ] 발음이
된다는 것이지요. 결국 한글 “ㄷ”와 영어 D 는 거의 같은 모양새로 같은 소리이지요.
[라,la]
해석할 필요 없이 한글 ㄹ에 [ㄹ]이지요.
[ㅎ]
이 문자에 꼭지는 없지만, ㆆ을 좀 푼 듯하지요.
[사]
이 문자는 한글 “ㅅ” 위에 수평선이 조금 첨가된 문자이지요.
그러면 좀 달라보이는 문자를 볼까요?
[가,ga]
이 문자는 가 계열의 하나입니다.
[파,pa]
이 문자는 고딕체에서는 한글 “나”처럼 보입니다.
즉 원래는 凵 문자에 오른쪽 선이 내려간 것인데, 한글 “나”나 “니” 처럼 보이게
된 것이지요.
그러면 ㄴ 이 겹친 나 는 무엇일까요?
[카]나 [까]음에 비슷한 가 계열 문자들 중 하나. [가]와 [나]를 연결시키는
소리 중의 하나.
이 모양에서 한글 “나” 를 선택하면, 한글 “나”와 닮은 문자는 불교 문자에서 [파]가
되는 것이지요.
[ㅇ]
모양새가 완전히 ㅇ 은 아닙니다. 그리고 한국 불교문자도 위 문자와 조금 다른
하트 ♡ 모양인데, [야]소리를 냅니다.
다음 한글 “ㅈ” 흘림체처럼 보이는 문자는 두개가 있습니다.
[ㅌ,t]---> ㄱ 아래 ㅏ 흘려 붙였다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ㄴ,n]----> ㄴ 계열 중에 하나로 ㄱ 아래가 꺾여 올라감.
#1. 이미 한글과 불교문자의 유사점에 관해 이야기 하신 분이 계심.
2. 문자 가져온 곳과 참조한 곳: http://www.mandalar.com/DisplayJ/Bonji/index2_E.html
'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자와 훈민정음의 관계 (0) | 2008.01.09 |
---|---|
불교문자(범자)와 훈민정음(한글)비교 -두번째 (0) | 2007.11.22 |
천수경 중 신묘장구대다라니 문자 -2 (0) | 2007.08.21 |
[옴] 자 상세 연구. (0) | 2007.08.20 |
천수경 중 신묘장구대다라니 문자 -1 (0) | 2007.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