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 자 상세 연구.
2007. 8. 20. 18:16ㆍ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통도사 정문 옆면에 보면 , 범자(梵字)가 있습니다.
3 처럼 보이는 문자는 [오]이고 , 3 자 위에 ㅡ 는 받침을 둔다는 말인데, 한글은
받침을 기본자(초중성) 아래에 두지만, 불교문자인 범자(梵字)는 받침이 위로 갑니다.
한글의 ㅇ 이자, 영어의 o 이자, 숫자로는 0 이자, 우리말로는 동그라미인 이 도형을
불교문자인 범자(梵字)는 [ㅁ]으로 소리 납니다.
그래서 [옴].
글을 적다가 방금 처음 안 사실인데,
위로 올라간 동그라미의 정식 발음은 [ㅁ]입니다만, 경우에 따라 [ㅇ]로 들려지기도 합니다. 즉 한글을 360 도 회전 시키면, 불교문자가 된다는 것입니다.
다음
오른쪽에 흘러내린 선은 긴소리, 즉 [오]장음을 내어라는 것이지요.
조선시대 할아버지는 왼쪽에 : 를 찍어 :옴 이라 표기하셨습니다.
오늘 사진을 자세히 보니 아래쪽에도 불교문자가 숨어 있군요.
'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자(범자)와 훈민정음(한글)비교 -두번째 (0) | 2007.11.22 |
---|---|
불교문자(범자)와 한글 비교 -닮은 문자를 중심으로 (0) | 2007.11.11 |
천수경 중 신묘장구대다라니 문자 -2 (0) | 2007.08.21 |
천수경 중 신묘장구대다라니 문자 -1 (0) | 2007.08.15 |
육자대명진언은 고대한국어인 듯. (0) | 2007.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