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8. 14. 13:59ㆍ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육자대명진언은 고대한국어
불교에는 주문 수도에 사용되는 육자대명진언(六字大明眞言)이 있습니다.
[옴마니반메훔]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진언은 영어로 [만트라]mantra 입니다. 우리말 많다의 [많터라]이기도 하지요.
영어로는 Six-word Mantra of Great Bright Light(6자 진언 --> 무엇의: 큰 밝은 빛)
이라고 하지요.
저는 이 불교 진언을 우리말로 [어머니 밭메요] 정도라고 농담 삼아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 육자대명진언을 인터넷에서 [옴마니바드리훔]이라고 소리를 들었습니다.
여러분도
http://www.siddham.org/yuan_english/mantra/emantra_six.html
여기에 가 보시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도를 물으니,
한민족 조상님께서 효도하라고 어머니(부모님) 잘 보살펴 드리라고 답변하신 것이
육자대명진언인 듯 합니다.
* 범자는 아래 한글에서 표현 안되어 위 인터넷 사이트에서 가져옴
[옴 마 니 바 드리 훔]
맨 앞 숫자 3 은 [오] 소리를 내어라는 뜻이고, 위에 줄과 점은 우리 한글 받침 ㅁ 이
들어가라는 범자(梵字)입니다.
마는 우리 한글 ㅁ 그대로 [마]소리를 냅니다. 위 문자체로는 사이에 공간이 보입니다만,
인도힌디 문자(데바나가리어)도 म으로 [마]를 나타냅니다.
영어 소문자 m은 범자에서 [ㄴ] 소리를 내는 것이고, 왼쪽에 l 는 우리 한글 [이]
그대로 짧은 [이]입니다.
우리 한글 ㄷ이 범자에서는 [ㅂ]이 되어 우리 한글 디 나 다 모양이 범자에서는
[바]가 됩니다.
다음 글자는 한글 [ ㄷ리]발음 을 세워 문자를 만든 것이고,
마지막 훔은 [ㅎ] 아래에 ㅜ 를 붙이고 위에 점
을 찍은모양인데
[훔] 소리를 내어라는 일종의 한글입니다.
우리 받침은 아래로 가고, 불교범자는 위로 갔을 분입니다.
* 위 문자는 아래 한글에서 표현 안되어
www. mandalar -->범자문자(梵字文字)에서 가져왔습니다.
이 훔은 우리 한국어 “---다” 처럼 문장 종결단어로서 큰 뜻은 없습니다.
현재인도힌디어에도 हूँ [훔,훙]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즉 불교육자대명진언은 고대한국어로서 어머니(부모님) 잘 보살피는 것이 도(道)의
근본이다라는 말입니다.
중국의 공자님께서도 백행의 근본이 효라고 말씀하셨지요.
'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자(범자)와 훈민정음(한글)비교 -두번째 (0) | 2007.11.22 |
---|---|
불교문자(범자)와 한글 비교 -닮은 문자를 중심으로 (0) | 2007.11.11 |
천수경 중 신묘장구대다라니 문자 -2 (0) | 2007.08.21 |
[옴] 자 상세 연구. (0) | 2007.08.20 |
천수경 중 신묘장구대다라니 문자 -1 (0) | 2007.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