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 9. 15:23ㆍ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제가 한국 불교문자인 범자(梵字)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제가 티벳 문자까지 추적하여 훈민정음과의 연관성을 밝혔는데, 그 단서가 된 것은
신묘장구대다라니 강해를 보다가 이 문자를 보고서입니다.
참고: 신묘장구대다라니 강해, 솔바람, 임근동님
발음은 [미]로 납니다.
우리 한글 ㅁ 에 왼쪽 ㅣ 를 붙인 것이지요.
그런 후
고려대장경의 문자 소개를 해 둔 훈민정음 이후의 범자를 보았을 때,
처음엔 복잡해서 정확한 소리 음가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책명: 고려대장경의 고전범어문법 연구,
김민수 님 외 5분,월인
그런데
인터넷 omniglot 의 아시아 문자들을 공부하다가
힌디데바나가리를 비롯한 거의 모든 아시아 문자들이 동일한 법칙으로
자모음 결합한 것을 보고 그 소리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이제부터 불교문자(범자라고도 불려짐)를 공부해 봅시다.
인터넷에는 omniglot 에서 siddham(불교문자 범자를 siddham이라고도 함) 에 보면 자료가 올려져 있습니다.
한국에 들어온 불교 문자와는 약간의 모양새 차이가 있지만 대동소이합니다.
그러면
우리 한글과 같은 ㅁ 을 기준으로 몇 가지 모음을 붙여보겠습니다.
① ② ③ ④ ⑤
①은 [므]입니다.
②는 [미] 짧은 소리입니다.
③은 [미] 긴 소리입니다.
④는 [모]입니다.
⑤는 앞의 ④의 [모]보다 수평선이 긴 모양새인데 역시 [모]입니다.
이 정도면 불교문자와 훈민정음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아야 하는 것이 정상이겠지요.
'불교문자범자(梵字)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ㅈ 과 치음 (0) | 2008.01.10 |
---|---|
불교한글(범자)에서 아음 (0) | 2008.01.09 |
불교문자(범자)와 훈민정음(한글)비교 -두번째 (0) | 2007.11.22 |
불교문자(범자)와 한글 비교 -닮은 문자를 중심으로 (0) | 2007.11.11 |
천수경 중 신묘장구대다라니 문자 -2 (0) | 2007.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