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마디 9초성 영단어장(521)
-
꾸러미의 증언 (복습)
'꾸러미', 사물의 증언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b5f3675d3ed49689eca8cb8a3a0533e 꾸러미는 생물도 아닌 무생물인데, 증언을 하겠다 합니다. ㅄ그례 ㅄㄱ 이 모두 있습니다. 우리말은 ㅂ 에서 '보따리', ㅁ 에서 '묶음, 뭉치'가 됩니다. 영어는 ㅂ 에서 bundle, bunch 가 되고, ㅍ 되어 pack, packet, package, parcel 이 됩니다.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32c5ab5c5b194d1586b678bb1c6b3b1f 꾸러미 포(包), 주로 '쌀 포'라 알려진 단어입니다. ㅂ 이 ㅍ 되었습니다. 우리말 '보따리'를 넣어도 '보따리 포(包)'가 나오게 되는데,..
2021.05.26 -
슬기의 동의어는?
'슬기'의 동의어는 무엇일까요? '꾀'입니다. 그러면 보나마나 '꾀'의 ㄲ 은 ㅅㄱ 입니다. 확인해 보겠습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55f807509c2446696d332f21b377f69 'ㅅㄱ'이 정확히 나옵니다. 한자어는 '꾀 모(謨)'로서 ㅁㅅㄱ 에서 ㅁ 이 나오는 것입니다. ㅁ/ㅂ 에서 영어 brain, w 되어 wits 가 됩니다. 간교한 꾀=guile , ㄱ 이 그대로 일치합니다. '구슬리다' 는 ㅂㄱ 이니 beguile 이 됩니다. 한자어로 '재주 술(術)'은 '꾀 술'로도 쓰이니, ㅅㄱ 의 ㅅ 입니다. '꾀 책(策)'은 ㅅㄱ 에서 ㅈ 된 후, ㅊ 된 것입니다. '터 기(基)'로 사용되는 단어도 '꾀 기'로도 쓰이니, ㅅㄱ 의 ㄱ 입니다...
2021.05.26 -
구름 앞에 ㅅ 있다는 것을 입증하겠습니다.
구름 앞에 ㅅ 있다는 것을 입증하겠습니다. '구름이 구름다' 하지 않고 '구름이 끼다'라고 합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224b26465e1d40398612886e84517d24 '끼다'의 옛말은 'ㅅ기다/ㅅ기이다' 입니다. ㅅ은 '서리다'로 분리됩니다. 즉 '구름' 앞에 원래 ㅅ 있다는 것을 'ㅅ기다'가 입증합니다. https://dict.naver.com/fikodict/#/entry/fiko/d3633bb311f547f2a3a4b18dad41eded '구름'을 핀란드어로 pilvi[필비]라 하고 https://dict.naver.com/dekodict/#/entry/deko/d85fe267fb4b49b4b96145d7892370f5 독어로 'Wolk..
2021.05.24 -
아름답다의 순음은? 멋, 맵시
아름답다의 순음은? 멋, 맵시 아름답다, 예쁘다 영어 beautiful, pretty 우리말 순음은 ? '멋, 맵시, 멋스럽다' 함남 방언에 '식'이라 하는 것은?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454f52b8a2649ab991aafaad37027cc ㅁㅅ 에서 ㅅ의 식 영어의 멋은 ㅁ 의 f =flavor 음식에는 '맛' ㅁㅅ 에서 ㅅㅁ 되면 smart 혹은 sapidity ㅅㄷ 이니 stylish, ㄷ만 dandy
2021.05.24 -
주다, 드리다의 의미
주다, 드리다의 의미 손으로 주다 ㅅ에서 ㅈ 됩니다. ㅅㄷ 이니 ㄷ 에서 '드리다' 입니다. 줄 급(給)이니, ㅅㄷ 에 응하는 ㅅㄱ 의 ㄱ 의 급입니다. 영어는 give.. 한자어 영어 사이는 박대종샘 연구가 있습니다. 줄 수(授), 줄 사(賜), ㅅㄷ/ㅅㄱ 에서 ㅅ 입니다. 우리말 초성 ㅈ 그대로 '줄 증(贈)' 줄 부(付), ㅄㄷ/ㅄㄱ 의 ㅂ 입니다. 순음 ㅁ/ㅂ 은 우리말에 '맡기다'가 됩니다. ----------------------------------------------------------- 복습) 주다=suoda[수오다], 손=käsi[쾨시] ‘손으로 주다’이지만, 원래는 ‘손으로 수다’입니다. 한자어는 ‘줄 수(授)’이고 ㅺ에서 ㄱ 의 ‘줄 급(給)’이고 영어는 give입니다. ㅅㅎ에서..
2021.05.24 -
'있다'의 존칭어 '계신다'의 의미
'있다'의 존칭어 '계신다'의 의미 우리말의 모음은 원래 ㅄㄱ/ㅄㄷ 에서 생략된 ㅇ 입니다. 그래서 '있다'의 원어는 '계신다'를 참고 하자면 '깄다/곗다' 입니다. 한자어는 '존재(存在)'입니다. 우리말 '깄다/곗다' 앞에 ㅅ 있었으니 'ㅅ깄다'의 ㅅㄱ 에서 ㅈ 되는 것입니다.
202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