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훈민정음 (1169)
-
버지기=자배기
버지기=자배기 넓다에서 너럭이소라, 너지기 벌어지다에서 ㅂ 계열 질그릇인데 벌어진 것=자배기 a round and large pottery bowl 버래기, 바리=bowl
2018.10.11 -
귀틀집
귀틀집= a log cabin https://endic.naver.com/krenEntry.nhn?sLn=kr&entryId=e1750966cdd2400db5c3f41e95db1e64&query=%EA%B7%80%ED%8B%80%EC%A7%91 귀틀/귀--->가(家) 귀흘 ----> 캐빈 cabin
2018.10.11 -
ㅎ의 흔적 증명 독어 gehen
ㅎ의 흔적 증명 독어 gehen 우리말과 독어는 원래는 같은 우리 고어를 사용했습니다. 그 중 우리말 가다의 원어는 '갏'이었고, 명사형은 '감' 이 됩니다. ㄹ은 변화형에서 '갈까?' 등에 나타납니다. 독어에 가서 원래는 'gerh' 이었다거 r 탈락 , 원형 표식 -en 을 붙입니다. 게헨 gehen 에서 게언 ge..
2018.10.11 -
독어에 남은 ㅎ 의 흔적
우리말 동사에도 쌓다, 빻다 등, ㅎ 이 많이 붙어 있습니다. 독어도 마찬가지인데 machen[마헨]=만들다, 맹갈다 우리말 은 ㅎ 이 ㄱ 된 것이고 독어에는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brechen[브레헨]=부수다 우리말은 ㅀ 에서 ㅎ 이 ㅅ 된 것이고, 독어는 ㅀ 이 다 남은 경우입니다. gleichen[그라이헨]=..
2018.10.11 -
ㅂ 의 의미
ㅂ의 의미 가림토에는 凵 만 나타나는데, 다른 인도계 문자에도 [ㅂ] 음가이니, [b] 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ㅂ 은 [bh] 인 것입니다. 물론 단음 [바,비,부,버,보,브] 로 표현해도 됩니다. [h] 이 곧 단모음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313462
2018.10.11 -
귀틀집, 집 가(家)
귀틀집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4939600 즉 통나무집 나무를 겹쳐 올려서 집을 만들었으니,,,,, ㅅㅎ 에서 ㅎ의 ㄱ, 혹은 귀틀집의 집 가(家) 초기 주거 형태 중의 하나였다고 봅니다. 움집과 귀틀집.... 귀틀집이니 마루를 구성하였을 것이고 기둥이 남아 있지 않아 흔적이 없어 보입..
2018.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