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틀집, 집 가(家)

2018. 10. 10. 20:42환국대동훈민정음

귀틀집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4939600


즉 통나무집


나무를 겹쳐 올려서 집을 만들었으니,,,,,


 

ㅅㅎ 에서 ㅎ의 ㄱ, 혹은 귀틀집의 집 가(家)

 

 

초기 주거 형태 중의 하나였다고 봅니다.

 

움집과 귀틀집....

 

 

귀틀집이니 마루를 구성하였을 것이고

기둥이 남아 있지 않아 흔적이 없어 보입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0440&cid=46673&categoryId=46673

 

 

통나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산림 지역의 집 형태입니다.

 

<< 언제부터 우리 나라에 귀틀집이 지어졌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삼국지≫ 위지 동이전 변진조에 “그 나라는 누목식()으로 집을 지었고 그 모양이 뇌옥()과 비슷하였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여기에 나오는 누목식 집을 귀틀집으로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귀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우리나라 고대 주거 형태가 '귀틀집' 이었다는 것을 증언해 줍니다.

 

움집과 거의 동시에 귀틀집이 나타났다고 보면, 그 연원이 2만년을 넘어설 듯 합니다.

 


 《삼국지》() 〈동이전 변진조〉()에는

"진한처럼 잡거하고, 성곽 역시 있었고, 의복과 거처는 진한과 같았는데, 말과 풍속이 서로 다른 바 있다"

하여, 진한과 변한은 성곽은 서로 같으면서, 말과 풍속 등이 조금 달랐으나, 진한과 변한은 모두 귀틀집이 건축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귀틀집[累木式住居] (한국건축사, 2006. 9. 15., 고려대학교출판부)

 

귀?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4856700

모가 난 물건의 모서리

 

 

이런 모습이 '귀틀'인데

우리가 인류의 첫 집을 만들었다

표식이기도 합니다.


통나무를 텐트 처럼 만들어

집을 만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또한 

성곽을 쌓았다는 것은

고대 성곽을 처음 쌓은 겨레가

한국인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