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훈민정음 (1169)
-
ㅀ 의 증거 다시
ㅀ의 증거를 다시 이야기합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311907
2018.10.04 -
말 다시
말 mare, horse 몽골어 [모리] https://dict.naver.com/mnkodict/#/entry/mnko/1831456 일어: 우마 인도네시아어 kimar, himar 한자어 마(馬) 표준어 '맗' 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입니다.
2018.10.04 -
문자이야기 7
문자이야기 7 말 에 대하여 고조선문자에서 제가 해석한 내용입니다. 처음 ㅁ 에 맞춘 문자였으나, 인도 브라미 문자에서는 [ㅁ] 으로 특정 되고, 아프리카에 가서는 말의 [m] 대신 [p/f] 음가로 변하게 되었다고 봅니다. 아프리카 언어는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스와힐리어와 소말리아어를 참..
2018.10.04 -
문자이야기-6
문자이야기-6 이미 오래 전에 다룬 듯 합니다. 고대 베르베르(기원전 3세기 문자) http://www.ancientscripts.com/berber.html 여기서 모음을 다시 보겠습니다. h는 현재 자음으로 여기지만, 고대에는 모음 으로 보았습니다. 고대에는 그 개념이 더 불분명했습니다. ㅣㅣㅣㅣ 4개는 [h] ㅣㅣ 2개는 [w], 즉 ..
2018.10.04 -
다시 지도
# 다시 지도를 정밀하게 분석하겠습니다. 구석기 백두 대간을 따라 동굴 생활을 하신 구석기 어른들이 집을 지으면서 평지로 3-2만년 전에 내려 옵니다. 만 8천년전 가장 기후가 좋은 서해안에 인류가 모여듭니다. 흔히 말하는 후기 구석기인들입니다. 이 때 인류는 전라도에서 마제 석기..
2018.10.03 -
문자이야기-5
문자이야기-5 누미디아와 베르베르 사이에도 같은 음가에 다른 모습을 했습니다. 베르베르 4개의 점 중에 2개를 하나의 직선으로 보아 2개의 직선으로 [h 장음]을 표현 했습니다. 현 한글 ㅏ, ㅗ, ㅜ 모습은 고대에 있었습니다. 다만 음가가 다를 뿐입니다. 영어 T , 한글 ㅜ 입니다. 영어는 ..
2018.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