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첫말 (1210)
-
동무와 동료(同僚) 비교 고찰
동무와 동료(同僚) 비교 고찰 동무의 우리 옛말은 ‘도ᇰ모’이고, '동무':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의미는 ‘같은 또래/무리’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또래’가 바로 한자어 ‘동료(同僚)’과 ‘등륜(等倫)’인 것입니다. ‘같다’의 옛말은 ‘닿다’ 로서 한자어 ‘동(同)’입니다. 한자어가 있기전 이미 ‘닿다’에 보듯이 ‘ᄃᆞᇰ’이란 우리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동무’의 우리 옛말 ‘도ᇰ모’의 종성이 ㆁ 인 것입니다. '믈':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무리’의 옛말은 ‘믈/물/주비’이니 ‘도ᇰ모’의 옛말은 ‘도ᇰ므ퟛ’이고 우리말은 ‘도ᇰ모’가 되고, 두 번째 초성 ㅁㆁ에서 ㆁ 이 ㄹ 되었거나 종성 ㄹㆁ 이 ‘료(僚)’가 되는 것입니다. '주비': 네이버 국어사전 (na..
2022.10.15 -
문답형 공부법과 의문형 공부법
1. 문답형 공부 1) 튼튼한 앞에 ㅅ 붙인 영단어는? strong 2) 간단한 앞에 ㅅ 붙인 영단어이자 ‘쉬운’의 ㅅ 그대로 영단어는? simple 2. 의문형 공부 1) 왜 동아리 동임이 아니라 ‘동아리 모임’일까요? ㅁㄷ에서 ㅁ 은 ‘모으다’ ‘모도다’이고, ㄷ은 ‘동아리’가 됩니다.
2022.10.15 -
깊이 생각하다=고사(考思)하다
깊이 생각하다=고사(考思)하다 '고사하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깊이=곰곰이, 곰 --->고 생각하다 ㅅ의 사 '고사'하다의 원래 음가는 '곰생/곰새' , 나중에 '고사'가 된 것으로 역시 고대 한국인이 만든 음가로 추정됩니다.
2022.10.13 -
[추가]ㅂㄱ-->ㅇㅋ 자료
구불구불/꼬불꼬불----> ‘퀴레 쾨레’ 티벳어 고찰 (tistory.com) ཀྱོག་ཀྱོག[kyog f kyo h/쿅 f 쿄 h]=꼬불꼬불한, 곧지 않은 문자 상 소리 표기:[ kyog- kyog/쿅-쿅] 원래 원음인 ‘교ퟛ’에서 ‘굫-굫’이 되고, ‘쿅-쿅’이 됩니다. འཁྱོག་ འཁྱོག [akhyog-akhyog/ㅇ쿅-ㅇ쿅], ㅲ 이 정확하게 ㅇㅋ 으로 나타납니다. 원래 '꼬불-꼬불/구불-구불'의 ㄱ은 ㅂㄱ 이고 ㅂㄱ이 ㅇㅋ 된 자료이고, ㅂ 이 생략된 ㄱ 임을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ㅂ은 ‘비뚤-비뚤’이 된 것이고, 그래서 우리 고어는 ‘ᄞᆞ -ᄠᅮᆯ- ᄞᆞ-ᄠᅮᆯ’인 것입니다. 티벳어는 4개의 철자에서 ཀྱག་ གེ་ ཀྱོག་ གེ [kya f-ge- f-kyo h-ge f/캬-게-..
2022.10.13 -
빨리-빨리=금방-금방
'금방금방':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빨리-빨리=금방-금방 ㅂㄱ 에서 ㅂ 은 빨리, ㄱ 은 금방
2022.10.13 -
구불구불/꼬불꼬불----> ‘퀴레 쾨레’ 티벳어 고찰
구불구불/꼬불꼬불----> ‘퀴레 쾨레/캭게쾩게 ’ 티벳어 고찰 ཀྱ་རེ་ཀྱོ་རེ [kya f –re f-kyo f-re f/ 카 f –레 f-쿄-f-레]=비뚤비뚤, 꼬불꼬불, 굴곡진 모양 ‘구-불-구-불’에서 두 번째 초성이 ㅂ 아니고 ㄹ 인 티벳어입니다. ཀྱག་ ཀྱོག [kyag f-kyo h/ 캭 f-쿄 h]=구불구불한, (말의 표현이)완곡한 ‘구불구불’의 원형 ‘그ퟛ-그ퟛ’이 ‘캭-쾩’으로 나타난 것으로 ㄱ이 ㅋ 된 정도 차이이고, 종성 변화가 있는 단어입니다. ཀྱག་ གེ་ ཀྱོག་ གེ [kyag f-ge f-kyo h-ge f/ 캭 f-게 h-쿄h-게 f]=비뚤비뚤, 구불구불, 완곡한 모양 두 번째 초성이 ㅲ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원래 말은 우리말에 기준을 두면 ..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