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소 정리
훈민정음에 '소다'와 '쏘다' 가 있습니다. 소리문자로 나뉘어 졌지만, 고대에는 '소'로 통일되어 있었습니다. 첨수도 2개의 비슷한 문자는 중국 학자들이 해석 못하여 선진화폐문자편 270쪽에 있는 문자입니다. 이는 둘 다 같다 해도 됩니다. 그러나 맨 위 부분이 조금 각지고 둥근 느낌이 ..
2016.01.28 -
첨수도-벼에서 밥까지
첨수도 죽순이나 보따리라 읽은 문자는 '쌀밥'이었습니다. 벼,쌀, 밥이 되면서 밥그릇까지 진행됩니다.
2016.01.28 -
좌의 工
右안의 ㅂ 은 이미 밝혔습니다. 배,베 로서 배의 무엇 이라는 것입니다. 불(해라는 의미도 들어감)의 무엇 배의꽃, 배의 돛,닻, 밥의 무엇 .... 左의 工은 고조선흐돈에서 [ㄴ]음가에 고정되자만, 원래는 '소'였습니다. 소의 무엇이라는 것입니다. 활이고 무지개이고 고래이고 소입니다. 즉 X ..
2016.01.28 -
첨수도-신발
첨수도-신발 발 해석한 단어에서 신을 찾아도 되겠지만, 옆면이라면 이 문자라고 봅니다.
2016.01.28 -
첨수도-물레방아
첨수도-물레방아 이 문자는 물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봅니다. 이전에 거울, 얼굴로 읽은 문자입니다. 눈 모양은 바퀴이고 바퀴를 돌리는 물체를 표현했다고 봅니다.
2016.01.28 -
첨수도-수직 낙하하는 새
첨수도-수직 낙하하는 새 이 문자는 나무로는 소나무 잣나무 등을 표현하지만, 새라면 물고기를 잡기 위해 수직 낙하하는 모습을 표현했다고 봅니다.
2016.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