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첨수도-해볕
첨수도-해볕 ㅇ 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1. 해로 보면 해볕이 크지는 상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크기가 넓은 곳은 대낮을 , 조금 작은 것은 아침을 표현합니다. 2. 사람으로 보면 치마의 형상이 나옵니다. 3. 곤충이라면 매미가 됩니다.
2016.01.28 -
첨수도-X 의 정체
첨수도-X 의 정체 역시 X 만 보면 가리는 부호, 회전을 표현하거나 소리 문자로는 쌍 자음을 표현합니다. 해살의 '살'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 보면 V 처럼 역시 문자의 왼쪽 위에 새의 얼굴이 중심에는 약간 둥근 모습이 보입니다. 새가 날개를 펴고 비행하는 모습입니다...
2016.01.28 -
침수도 -V 의 정체는?
침수도-V 이미 매를 해석하면서 V 는 새가 나는 모습이라고 보았습니다. 오늘 자세히 들여다 보고 그려 보니 V 오른쪽에 새 얼굴이 보였습니다. 물론 주물 과정에 조금 묻은 흔적이라 볼 수도 있지만, 이는 의도적으로 새 얼굴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봅니다. 위 문자는 '낫'으로 보아도 되지..
2016.01.27 -
첨수도-고니와 오리
첨수도-고니와 오리 좀 큰 모습은 고니라고 보고 조금 숙인 모습은 오리라고 구별해 봅니다. 안해도 되지만, ...
2016.01.27 -
첨수도-물고기
첨수도-물고기 누구나 물고기라 알 수 있는 문자이고 중국 학자들도 魚라 읽는 문자입니다. 우리 상형 물고기와 갑골한자 물고기는 모두 상형이지만, 우리 물고기는 더 확실히 물고기를 표현합니다. http://blog.daum.net/daesabu/18285742
2016.01.27 -
첨수도-신발
첨수도-신발 소로만 읽은 문자를 자세히보면 활도 들어있습니다. 자연에서는 무지개입니다. 대님 아래 부분이라보면 '신(발)'이 나옵니다. 맨 아래 부분을 고래라 보고 고래에서 솟아 오른 물줄기로 보아도 됩니다. 땅에서는 '소' 이고, 바다에서는 '고래'입니다. 이 문자 부분을 고래에서 ..
2016.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