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유전자학 (3520)
-
기체(氣體)와 기(氣) 고찰
기체(氣體)와 기(氣) 고찰 증기(蒸氣) 즉 우리말은 ‘찌는 김’ 옛말은 ‘ᄠᅵ다’ ᄠᅵ다-->ᄧᅵ다-->찌다 ㅳ의 ㄷ 에 ㄱ 이니 ㅲ에서 ㄱ은 김, 기(氣) ᄠᅵ다 의 ㄷ에서 데우다 에너지의 기(氣)는 힘에서 나온 ㅎ이 ㄱ =기
2020.11.07 -
ᄯᆞᆯ =딸
ᄯᆞᆯ =딸 아들 =ᄣᆞᆯ에서 ᄠᆞᆯ의 아들과 ᄯᆞᆯ의 딸로 분리되고 ‘바들--->아ᄃᆞᆯ/아들’ 됩니다. 'ᄣᆞᆯ' 에서 ㅅ에서 영어는 son, 우리말은 사나이
2020.11.07 -
깨다 공부
깨다 공부 깨다는 2개가 있습니다. ㅴ 의 깨다는 깨트리다, 부수다의 깨다이고, 파괴(破壞)의 ‘괴’ 입니다 ㅺ 의 깨다는 각성, 각도(覺道)의 깨닫다입니다
2020.11.07 -
ᄭᆞ다 , ᄭᆞᆯ 각(覺)
ᄭᆞ다 , ᄭᆞᆯ 각(覺) ㄱ 그대로 각 ᅚᅠ에서 깨닫다 ᄭᆞᄃᆞᆮ다 즉 각도(覺道), =도를 깨닫다 이제 여러분도 득도 하셨지요? 득도=각도 득도는 도를 얻다, 그러면 도를 깨닫다는 ? 각도(覺道)=도를 깨닫다 영어는 ㄱ 의 grasp
2020.11.07 -
좋다 good 복습
둏다 이니, ㄷㄱ 에서 둏을 굳 good
2020.11.07 -
ᄭᆞᆯ다=깔다
ᄭᆞᆯ다=깔다 역시 ㅴ에서 ㅂ 생략 후 나타난 초성입니다. 깔 자(藉) ㄱ이 ㅈ 된 것입니다. 깔개, ㄱ이 ㅈ 으로 우리말 자리, 한자어 자 ㅂ에서 place ㅄ에서 ㅽ 되어 spread ㅺ의 ㅅ에서 seat, 집 자리는 site
2020.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