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유전자학 (3520)
-
드디어 찾은 ᄻᅠ
드디어 찾은 ᄻᅠ ko.dict.naver.com/#/entry/koko/9adf94e4910a493c9c398233999651c7/historyInfo 원어는 ᅘᅧ다 인데, ᄻᅧ다 ᄻᅧ다에서 써다-->썰물 ᄻᅧ다에서 켜다, ㅎ이 ㅋ 됩니다. ㅎ 2개에서 ㅅㅎ 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단어입니다. ᄻᅠ 에서 여기서는 ㅋ 으로 변했지만, ᄻᅠ에서 ㅽ 으로 변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어쨌거나 ㅅ 옆에 ㅎ 있었다는 증거자료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b0b37525be4f4b6e9613319d9c8f5cfb 다음 ‘ᅘᅧ다’에서 ‘끌다’ ‘당기다’ 가 나오니 ㅎ이 ㄱ, ㄷ 으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하나 끌다는 ᄭᅳᆯ다 이니, ㆅ에서 ㅺ 된 것입니다. ko.di..
2020.11.08 -
ᄭᅩᆯ 추(蒭)
ᄭᅩᆯ 추(蒭) ㅅ에서 ㅈ 다음 ㅊ 영어는 grass
2020.11.08 -
ᄭᅩ리 미(尾)
ᄭᅩ리 미(尾) 역시 ᄢᅮᆯ/ᄭᅮᆯ/꿀 밀(蜜), ᄭᅮᆷ/꿈 몽(夢)과 같은 유형입니다.
2020.11.08 -
파쇄, 파괴 복습
ㅴ 의 깨다 , ᄢᅢ다 ㅅ 탈락 ㅲ 의 ㅍㄱ , 파괴(破壞) 참조
2020.11.07 -
띠의 ᄯᅵ의 한자어 대(帶), 큰 띠 신(紳)
띠의 ᄯᅵ의 한자어 대(帶), 큰 띠 신(紳) ㅼ 그대로 우리 옛말, 하나씩 나누니 신, 대 ㅅ의 sash ㅂ은 영어에서 belt, band
2020.11.07 -
ᄭᅮᆯ의 꿀의 밀(蜜) 과 ᄭᅮᆷ의 꿈의 몽(夢)
ᄭᅮᆯ의 꿀의 밀(蜜) 과 ᄭᅮᆷ의 꿈의 몽(夢) 우리말 ‘꿀’의 옛말은 ‘ ᄢᅮᆯ’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a62e8d9575a54e5f8e19950fea445bfb 그런데 조선말큰사전에는 ‘ᄭᅮᆯ’로 나옵니다. 즉 ㅂ 탈락된 형태가 나오는데, 이 ㅂ/ㅁ 이 바로 한자어 ‘밀(蜜)’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1ec60651a4d3488ea205bae999b93100 꿈의 옛말은 ‘ᄭᅮᆷ’ 인데, 이미 ㅂ/ㅁ 은 없어진 형태입니다. 이 없어진 ‘ㅂ/ㅁ’이 바로 한자어 ‘몽(夢)’입니다. 그래서 곰의 bear, 콩의 bean, 구슬의 bead/marble, 꽃 bloom/blossom, 공 ball 은 ㅲ에서 분리되었다는 것을 알..
2020.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