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유전자학 (3520)
-
baby 의 한국어는? 배네.
ko.dict.naver.com/#/entry/koko/cdef9c36dad8414380d1b49c287fd019 baby 의 한국어는? 배네. 어머니 배에서 나온 존재=배내, baby
2020.11.09 -
자루인가? 마대인가?
자루인가? 마대인가? ko.dict.naver.com/#/entry/koko/56c138c93c394f228d8d917d064bea4a 지금까지 공부를 잘 이해하시면, 방언에서 우리 고유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마다리’에서 마 탈락, 다리 ㄷ에서 ㅈ 으로 자루
2020.11.09 -
ᄀᆞ득다 =가득하다
ᄀᆞ득다 =가득하다 제주방언을 보면 역시 아래 오/아를 알 수 있고, -하다 다음 하를 생략한 –다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ㄱㄷ 에서 '가득' 입니다. ㅂㄱ 이면 ㅂ의 full
2020.11.09 -
도랑, 고랑 복습
도랑, 고랑 ㄷㄱ 에서 모두 우리말이 잘 남은 단어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0be619ccbbe641eca0d4212e51986102 옛말은 '돓' 이고, 방언에는 '똘구랑' 이 있습니다. 즉 도랑, 고랑이 '똘구랑' 에서 나온 것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940fd6c7a96f466c983bd3b4bf93a404 고랑 옛말은 '고랑', 방언에 '꼴또랑'이 있습니다. en.dict.naver.com/#/entry/koen/7c4c8f29e0da4d7eb68b9c2ca67dc1db 영어는 도랑 =ditch, gully, gutter ㄷㄱ 이 그대로 영어에도 남아 있습니다. 심지어 한자어에도 도랑 독(瀆), 도랑 구(溝) 역시 'ㄷ..
2020.11.09 -
무릎을 왜 무릎다라 안하고 꿇다라고 하나요?
무릎을 왜 무릎다라 안하고 꿇다라고 하나요? 이것은 ㅯㄱ에서 ㅁ에서 무릎, ㅺ은 ᄭᅮᆶ다-->굻다 가 됩니다. 종성은 ㅀ 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ㅯ굻다’에서 ㅁ은 ‘므릏’-->‘므릎’-->‘무릎’, 그러니 한자어는 ㅅ에서 슬(膝) 영어 kneel 은 ㄱ에서 ㄱㅎ-->ㄱㄴ ko.dict.naver.com/#/entry/koko/d710b91373914056bcdd44d96ce3d7e6 ‘ᄭᅮᆶ다’ 에서 ㄱ의 한자어 꿇어앉을 궤(跪) 무릎의 제주 방언 독마릅, 독마리 ko.dict.naver.com/#/entry/koko/cc718c25b57044a08d09cd192606251e ㆅ 에서 ㄷㅁ 이 나온 것이라 추정할 수 있습니다.
2020.11.08 -
‘작다’의 ‘햑다’, 그리고 ‘속다’, 즉 small
‘작다’의 ‘햑다’, 그리고 ‘속다’, 즉 small 옛말은 ‘햑다’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cf3b76a111114a25ba3b0cbc02c7a26a 방언에 ‘속다’는 바로 ㅎ 이 ㅅ 된 것입니다. 그러니 한자어 소(小, 少)는 우리말 방언이라는 것입니다. 현 표준어는 ㅈ입니다. 그러면 영어 small 은 ‘ᅘᅣᆨ다’ 의 ‘ㆅ’에서 ‘ᄱᅠ’ 이 된 것입니다. 즉 우리말에서 ‘ㅽ’ 된 유형입니다.
202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