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 문자 연구(823)
-
언(言)으로 본 문자 시기는 기자조선 시대(은말주초).
언(言)으로 본 문자 시기는 기자조선(은말주초). 제가 이전에 찾았던 문자 행(行), 길(吉) 등의 글자는 금문 시기의 문자였습니다. 이 문자 중 제일 시기가 올라가는 문자는 언(言)입니다.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8%A8%80&submitButton1=Etymology 은갑골문과 일치하..
2009.01.06 -
문자는 확실히 명(明)이고, 밝은 나라, 밝조선(발조선) 이군요.
문자는 확실히 명(明)이고, 밝은 나라, 밝조선 이군요.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d/Yan_State_Coins.jpg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6%98%8E&submitButton1=Etymology 이렇게 생각해 봅시다. 상평통보나 조선통보를 만드는 근대 조선 때까지도 혹여 이 명도전이 남아..
2009.01.05 -
맥천(貉天)은 맥 천군
맥천(貉天)은 맥 천군 이전에 한 내용입니다만, 한번 더 정리합니다. 기후방정(箕侯方鼎: 기자국의 제후로 임명한 네모난 청동 솥)아래에 새겨진 은갑골문인 기후아(箕侯亞:기후로 임명함)는 이형구 교수님께서 해석하셨고, 그 다음 문자는 제가 맥천군으로 해석하였습니다. 그림을 다시 보여드립니다...
2008.12.30 -
자모전(子母錢)은 명도전(明刀錢)
자모전(子母錢)은 명도전(明刀錢) 기원전 957년에 고조선에서 자모전(子母錢)이 주조되었다고 했습니다. 제가 그 명도전 위의 문자들을 추적했다시피 자모전이란 말의 뜻은 자모전(字母錢)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혹은 이전에 연구한대로 큰 단위의 돈 (上文) 과 작은 단위의 돈(文) 일 가능성도 많습니..
2008.12.23 -
홍도관에 새긴 은문자
홍도관에 새긴 은문자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080813_0008779046
2008.10.24 -
제 예측대로이지요.
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081013002970&ctg1=01&ctg2=00&subctg1=01&subctg2=00&cid=0101050100000 은나라 갑골문 만주의 옥도에서도 발견. 흐흐흐.
2008.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