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조선 한글 공동연구(428)
-
265. 야윈과 튼실
265. 야윈과 튼실 야윈은 야윈 모습을 표현하고, 튼실은 튼튼한 모습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혹은 아래 문자는 "늘" 로 읽어 "늘씬" 이라 읽을 수도 잇습니다. 남자라면, "튼실"로 여자라면, "늘씬"으로 사용한 듯 합니다. 이 문자를 중국 학자들은 좌와 내(左 와 內)를 떨어뜨려 엉뚱하게 읽고 마는 것입니..
2009.09.11 -
264. 조금과 사금
세번째 문자입니다. 모래의 사금으로 보입니다. 혹은 "조금 a little" 으로 보입니다. 출처: 고천원지 조금 a little , a few; a small number 아래 ᐃ은 [조], 위의 문자는 [금] 위의 ᐁ이 작은 모양새임을 보여줍니다.
2009.09.11 -
263. 문,방,벽,마루,마당 이란 단어도 있어야 겠지요.
263.문,방,벽,마루,마당 이란 단어도 있었겠지요. 선진화폐문자편(先秦貨幣文字編)에 보이는 문자 중에 있었습니다. 방,문,벽 room, door,wall 위에 ᗊ 문자는 [ㅂ]음가이자 [ㅜㄴ]음가입니다. ᗊ 문자는 문의 안팎에 있는 고리입니다. 상상하기는 쉽지 않지요. 아래 문자는 초가집 문 구조를 나타내고, 혹은 ..
2009.09.11 -
262.인두
262. 인두 드디어 "인두"도 찾은 듯 합니다. 인두【명사】 1. 바느질할 때 불에 달구어, 천의 구김살을 눌러 펴거나 솔기를 꺾어 누르는 데 쓰는 기구. 위 문자가 "두" 로 인두를 표현하셨습니다. 아래 문자는 "인"으로 화롯불을 표현하셨습니다. 자료 출처: 선진화폐문자편(先秦貨幣文字編), 292쪽
2009.09.10 -
261. 높은과 낮은
261. 높은과 낮은 1) 낮은, low, 底 2) 높은, high, 高 낮은과 높은은 서로 애매하지만, 한자 上은 [높은]에 [노]에 맞추었고, 중간에 점이 있는 것은 "나"의 아래 아를 표현 했다고 보며, 약간 비탈진 모습의 "즌"은 소리의 발성 모양새를 표현했다고 봅니다. 반대일 수 도 있습니다. ---------추가) 1)은 "앉은" 으로..
2009.09.10 -
260. 갑옷 과 그리움
260. 갑옷 과 그리움 한자 用은 "사용하다" 라는 뜻이지요. 이 문자는 아래 부분만 갑옷(甲옷)이라 봅니다. 갑옷 (甲―)[―옫]【명사】 옛날 싸울 때, 화살·창검을 막기 위해 입던 옷《쇠나 가죽의 미늘을 붙였음》 아래 문자는 用 처럼 보이는 문자는 상형한자 甲을 떠 올리게 합니다. http://www.internationals..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