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12. 23. 19:43ㆍ한중발음정리
한중 발음 변화 규칙-5(모)
이미 앞에서 발음 변화를 몇가지 추적해 보았는데, 우리 중성 [ㅗ]가
중어에서는 [ㅜ]로 변화됩니다.
고,노,도,로,모,보...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당 수의 한자음이 이 규칙에 적용을 받습니다.
1. 모: 募, 姆, 慕, 暮. 母, 牡
여기에 제시된 단어들은 모두 [무(mu)]로 납니다.
그리고 중요 단어들은 [마오(mao)] 로 많이 납니다.
중요 예외 단어) [마오: mao] 冒, 帽, 毛, 瑁, 眸, 矛, 茅, 貌
1)[모(mo)]그대로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 摸, 摹, 模, 謨
2)[머우(mou)] 로 나는 경우: 某, 謀
그러면 우리 한자음 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2. 무--> 대체로 [우]로 많이 나며 [마오(mao)] 로 나기도 합니다.
1)[ 우] 務, 巫, 憮, 戊, 无. 武, 毋, 無, 舞, 蕪, 誣, 霧
2)[마오] 楙, 貿
# 무는 貿[마오]를 제외하고 거의 [우(wu)] 로 납니다.
3. 이제 응용해 봅시다.
1) 모근(毛根)은 [마오 건(gen)]
모는 마오, 근은 건
2) 모성(母性)은 [무 씽(xing)]
모는 무, 성은 씽
3) 모략(謀略)은 [ 머우 뤼에]
모는 머우, 략은 뤼에
4) 무공(武功)은 [ 우 공(gong)]
공은 꿍인데, 우리소리에 맞춰 [공]
5) 직무(職務)는 [즈(zhi) 우]
직에서 받침 탈락, ㅣ를 ㅡ 로, 무는 우
6) 무용(舞踊)은 [우 용(yong)]
무는 우, 용은 융(yong) 인데, 우리 발음에 맞추어 용
7) 무지(無知)는 [ 우 즈 (zhi)]
무는 우, 지는 즈
8) 무산(霧散)은 [우 산(san)]
무는 우, 산은 산, 우리가 우산이라 하면, 중국사람들은 무산이라 알아들음
9) 무역(貿易)은 [마오 이]
무는 마오, 역은 받침 탈락하여 이
저랑하니 중국어도 식은 죽먹기 이지요.
# 주의사항: 위 내용은 특정 인물, 특정 사안과 관계 없습니다.
우리 한자음이 중어에서 어떻게 변화했는가의 고찰입니다.
'한중발음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중 발음 변화 규칙-4(로) (0) | 2006.12.18 |
---|---|
한중 발음 변화 규칙-3(도) (0) | 2006.12.17 |
한중 발음 변화 규칙-2(노) (0) | 2006.12.17 |
한중 발음 변화 규칙-1(고) (0) | 2006.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