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12. 17. 21:33ㆍ한중발음정리
한중 발음 변화 규칙-3(도)
이미 앞에서 발음 변화를 몇가지 추적해 보았는데, 우리 중성 [ㅗ]가
중어에서는 [ㅜ]로 변화됩니다.
고,노,도,로,모,보...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당 수의 한자음이 이 규칙에 적용을 받습니다.
1. 도:[두]--> 度, 渡, 都
[투]--> 圖(tu),塗(tu),屠(tu),徒(tu)
여기에 제시된 단어들은 모두 [두(du)]혹은 [투(tu)]로 납니다.
그리고 중요 단어들은 [다오(dao)] 로 많이 납니다.
중요 예외 단어) [다오: dao] 倒, 刀, 到, 導, 島, 桃(tao), 滔(tao), 盜,稻, 萄(tao),
蹈, 逃(tao), 道, 陶(tao)
[티아오]로 발음되는 도망틸 도: 跳
# 이렇게 도는 [다오]로 많이 나지만, 역시 [두(du)]나 [투(tu)]로 납니다.
그러면 우리 한자음 두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2. 두: [두]讀--> 구절 두로 새길 경우 , 우리 한자음과 같음, 杜,肚
[더우:dou] 兜, 斗,枓,痘,竇,荳,豆,逗,
[터우:tou] 頭
#우리 한자음 두는 두 그대로 혹은 더우나 터우로 풀어져 있습니다.
3. 이제 응용해 봅시다.
1) 도면(圖面)은 [투(tu) 미엔(mian)]
도는 투. 면은 풀어져 미엔
2) 도시(都市)는 [두 쓰(shi)]
도는 두, 시는 쓰
3) 도민(道民)과 도민(島民:섬시민)은 [다오 민]
도는 다오, 민은 민, 참고로 도민(島民,道民)의 일어도 [도-민]とうみん
4) 도래(渡來)는 [두 라이(lai)]
도는 두, 래는 풀어져 라이 , 참고로 일어는 [토라이] とらい
5) 도적(盜賊)은 [다오 제이(zei)]
도는 다오, 적은 제이
6) 두부(豆腐)는 [더우 푸(fu)]
두는 더우, 부는 푸
7) 두목(頭目)은 [터우 무(mu)]
머리 두는 터우, 목은 묵 으로 바뀐 뒤 ㄱ탈락되어 무
8) 두발(頭髮)은 [터우 파(fa)]
발에서 ㄹ 탈락, 파
9) 두뇌(頭腦)는 [터우 나오(nao)]
뇌는 풀어져 나오, 나오는 나다 라는 우리말. 두뇌 개발이 필요하지요.
# 주의사항: 위 내용은 특정 인물, 특정 사안과 관계 없습니다.
우리 한자음이 중어에서 어떻게 변화했는가의 고찰입니다.
'한중발음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중 발음 변화 규칙-5(모) (0) | 2006.12.23 |
---|---|
한중 발음 변화 규칙-4(로) (0) | 2006.12.18 |
한중 발음 변화 규칙-2(노) (0) | 2006.12.17 |
한중 발음 변화 규칙-1(고) (0) | 2006.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