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어 ‘질투하다/시기하다’ 고찰

2022. 11. 17. 15:21말글경

티벳어 질투하다/시기하다고찰

 

시기(猜忌)하다의 우리말은 시샘하다이고, 근원 의미는 미워하다/싫어하다입니다. 티벳어를 보겠습니다.

그래서 태고어는 ꥱᅵᄭᅢᆷ-ᄧᅳ다/하다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티벳어를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650>>

 

ཕྲག་ དོག [tha f do h/f h]=질투, 시기

문자 상 소리 표기:[ phrag dog/ ㅍ락 독], 원래 문자 상 소리 [ph]는 ㅂ 계열에서 나온 변음이니 ㅄ이 ph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ㅅ이 안보이니 티벳어와 우리말의 대응 관계를 알 수 없고 심지어 미워하다의 순음 ㅁ도 [ph] 안에 들어 있으니 완벽한 공부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풀 수 없습니다. ‘은 ㄷ이 ㅌ 되어 ()’가 됩니다. 첫 번째 문자 소리 중 ㄱ만 남아 강샘이란 표현도 현대어에 남아 있습니다.

 

 

ཕྲག་ དོག་ བྱེད [tha f do h byeda/f h ]=질투하다, 시기하다

 

동사형을 만드는 법칙이 그대로 적용되었습니다.

 

영어 단어는 보통 envy 라고 하여 초성 ㅴ이 ㅇ 된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begrudge'의 검색결과 : 네이버 영어사전 (naver.com)

어려운 단어로 begrudge/grudge 라고 하기도 합니다.

 

영어 단어 begrudge가 바로 ཕྲག་ དོག་ བྱེད 이고, be-생략 후 grudge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말과 독일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ㅂ/ㅁ 탈락 현상이 영어 단어에 나타난 경우입니다.

일어 단어로 さいき/猜忌[사이키]라 하니 역시 한자어 시기를 일어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