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조/개혁' 자세히 재 고찰

2022. 11. 6. 14:17말글경

 

 

[복습과 추가]고치고 바꾸다/만들다=개조(改造)하다, 개혁(改革)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tistory.com)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93>>

 

བསྒྱུར་ བཀོད་[gyun v-köh/- ]<명사> 개조, 개혁

 

문자 상 표기: [bsgyur(h) -bkod(h) ][ ᄢᅱᆯ -ꥳᅬᆮ ], 첫 번째 마디는 문자상으로 ㅴ 이 정확히 나타난 단어인데 현재 티벳어는 ㅄ의 소리가 사라지고 ㄱ 만 냅니다. 우리말 갈다에 해당하는 것이니 옛말은 ᄀᆞᆯ다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 옛말에 ㅄ을 붙인 ᄢᆞᆯ이 문자상 티벳어에 남아 있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문자상으로 ㅂ은 남고 ㅅ 은 사라지고 ㄱ은 ㅋ 된 티벳어이고, 종성 ㄹㆁ 이 ㄷ 으로 남은 단어입니다. 우리말은 동사형이지만 고대에는 명사동사구분 없이 사용되었고 여기서는 명사형이 됩니다. 우리말의 바뀜정도 어감입니다. 붙여 보자면 갈고-바뀜정도 표현입니다. 한자어는 개조(改造)’인데 원래 두 번째 ㅈ 은 ㅺ에서 나온 것이니 티벳어, 고대 우리말, 한자어가 동일한 것입니다.

 

བསྒྱུར་ བཀོད་ བྱིད [gyunkohjew][귄 코휴-]=개조하다, 개혁하다

문자 상 표기: [bsgyur(h) bkod(h) buida][ ᄢᅱᆯ ꥳᅬᆮ 뷔다]

 

 

བསྒྱུར་ 

 

 

 

 

 

동사형에 ‘-붸다를 붙이는 형태의 표현입니다.

 

그래서 동사형을 만드는 방식을 다시 정리 하자면

첫 번째, 한 단어의 동사형일 경우에 3마디의 원형 출처를 밝힌 문자상 표기가 있다.

두 번째, 2단어를 겹쳐 복합명사를 만든 후, ‘-붸다등을 붙여 동사형을 만든다.

 

개조하다/개혁하다는 당연히 두 번째 원리입니다.

 

བསྒྱུར་ བཅོས [gyun-cöh/ -h]<명사> 개조, 개혁

문자 상 소리 표기:[bsgyur-bcos/ ᄢᅱᆯ-ᄧᅩㅅ]

 

문자 상 표기를 보면 ㅄ 탈락 후 현 티벳어가 되고 에서 한자어 ()’가 되고, 두 번째 문자상 소리 [bcos/ ᄢᅱᆯ-ᄧᅩㅅ]에서 ㅂ이 ㅁ 되어 우리말 만들다/짓다가 되고, 한자어는 ㅈ 그대로 ()’가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고침-지음이고, 한자어는 -인 것입니다.

#
 
이렇게 우리 한자음은 단순이 중원족의 발음이 아니라 고대 환국의 발음 중의 하나로서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한자라는 문자 자체도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