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습과 추가]고치고 바꾸다/만들다=개조(改造)하다, 개혁(改革)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2022. 9. 9. 16:17하늘첫말

고치고 바꾸다/만들다=개조(改造)하다, 개혁(改革)하다, 그리고 티벳어 비교 고찰

 

이미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93>>개혁하다를 다룬 바 있지만, 또 티벳 동의어를 가지고 설명해 보겠습니다.

 

고쳐 새로 만들면, ‘개조(改造)하다이고, 고치고 바꾸면, ‘개혁(改革)하다입니다.

티벳어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84-285>>

 

བསྒྱུར་  བཅོས [ gyuncöh/ 귄 죄 h ] =변혁, 개혁

명사형의 문자상 발음은 ‘sgyur bcos/ ᄭᅱᆯ ᄧᅩᆺ인데 앞 초성 ㅺ에서 ㅅ 탈락 두 번째 초성 ㅶ에서 ㅂ 탈락 해서 현 한자음 개조와 비슷하게 남은 것입니다. 여기서 두 번째 ㅂ 문자는 바꾸다혹은 만들다라는 것이고, ㅈ 은 짓다라는 것입니다.

 

བསྒྱུར་ བཅོས་ བྱེད[gyuncöh jew/ 귄죄 h ]=개조하다, 개정하다, 변혁하다

동사형에서 문자상 ‘-붸다를 붙이는데, 소리로는 ‘-로 납니다.

 

 

이렇게 우리가 흔히 한자어 + 하다구조를 중원 한나라의 한자 유입으로 인해 만들어진 구조라고 생각하지만 위 자료들에서 보듯이 고대로부터 내려온 언어 법칙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티벳어는 우리말과 대조해 보면 그 변천상 -ㅺ에서 ㄱ 되고 ㅶ에서 ㅈ 되는 현상-을 정확하게 문자와 언어로 입증한다 할 것입니다.

-----------------------------------------------------------------------------------------------------------

[복습]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93>>

 

 

개혁의 동사 개혁하다를 살펴 보던 중이었습니다.

 

 

བསྒུར་ བཀོད་ བྱིད [gyunkohjew][귄 코휴-]=개조하다, 개혁하다

문자 상 표기: [bsgyur(h) bkod(h) buida][ ᄢᅱᆯ ꥳᅬᆮ 뷔다]

 

 

 

------------------------------------------------------------------------------------------------------

 

[추가]

바꾸다의 우리 옛말은 밧고다이니 합용 병서 초성은 ㅂ-ㅺ 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른 단어로 합용 병서를 추정하자면 뒤집다이니 ㅳ-ㅺ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치다의 의미일 경우 옛말은 고티다이니 ㅳ-ㅺ에 대응하는 ㅲ-ㅼ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ㄱ은 갈다라 하기도 합니다.

 

 

'번드치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번드치다의 옛말은 번ᄃᆡ티다이니 ㅂ-ㄷ의 초성도 표준어로 남아 있습니다.

 

 

이제 영어 단어와 대비해 보겠습니다.

 

 

ㅂ에서 vary가 나오고, /ㅼ이 ㅊ/ch 되어 change가 됩니다. convert갈고 바꾸다해도 되고, -ㅂ에서 ㄱ-ㅂ 되었다 해도 됩니다. 이제 varychange를 붙이면 varychange인데 종성 ry를 빼면 vachange가 되는 것입니다.

 

바로 바꾸다에 해당하는 창작 영어 단어인 것입니다. -/ㅼ에서 ㄱ-/ㅊ 된 것이 바로 교체(交替)하다이고, -ㄷ 된 것이 교대(交代)하다인 것입니다.

 

 

일어 단어로 かえる/える[가에루]라 훈독하니 바로 우리말 갈다/고치다의 ㄱ입니다.

 

합용 병서 ㅲ에서 ㅂ은 우리말의 바꾸다와 ㄱ의 고치다/갈다가 되는 것이고, 일어는 훈독에서 가에루라고 남은 것입니다.

 

한자어는 ㅂ에서 변혁(變革)/변화(變化)’가 되고, ㄱ에서 개혁(改革)이 되는 것입니다.

 

'변개하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그리고 우리말 --하다에 초성이 정확히 대응하는 한자어는 ()-()-하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