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통한 티벳어 고찰

2022. 9. 7. 12:02하늘첫말

물을 통한 티벳어 고찰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360>>

ཆུ[chu f/h]=,, 하천

 

이란 단어부터 로서 달라 보입니다. 합용 병서 이치를 알아야 하고, 우리말과 전 세계어 변화를 알아야 합니다. ㅄ이 ㅯ 되고 ꥱᅳᆶ이라 처음에 고대 한국과 중원 선조들은 발음을 했습니다. 다음 한국어는 ㅁ의 ‘믈’, 한자어는 ’-->‘로 분리됩니다. ‘는 다시 티벳어에서 /로 나타난 것입니다. 보통 ㅈ/ㅊ에서 변화는 멈추게 됩니다.

 

ཆུ་རྐ [chu f kə f/ 추 커]=수로(水路), 수로를 내다, 물길

문자 상 소리 표기: [ chu rk/추ꥮᅳ]

 

이것은 () + 로서 원래는 ꥱᅳᆯ ᄞᅵᆶ이었다가 수 ᄞᅵᆯ’-->‘추ꥮᅳᆯ’-->‘추크가 됩니다. 우리말 로 남아 있는 형태이고,

 

길과 도(道), 도로(道路)의 티벳어를 통한 ㄱ과 ㄷ 고찰 (tistory.com)

ㄷ 음가로도 남은 경우도 있습니다. ‘의 합용 병서는 ㅲ 이었는데 ㄺ/ㄹㅋ 초성의 문자로 남은 것이 티벳어 초성입니다.

ཆུ་ སྐད[chu f h/f h]=물소리, 물이 흐르는 소리

문자 상 소리 표기: [chu skäd/추 ᄸᅢᆮ]

 

우리말 소리는 ㅺ에서 ㅅ 만 나타난 것이고, ㅺ은 ㅅㅋ 되어 문자로는 ㅅㅋ이 남고 소리만 ㅋ 만 티벳어에 남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