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멸하다, 멸시하다 티벳어 고찰

2022. 10. 15. 10:26고대 한국어=티베트어

경멸하다, 멸시하다 티벳어 고찰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49>>

 

 

ཁྱད་ གསོད [khyä f sö h/ 쾌 쇠]=경멸, 멸시

소리 상 문자 표기: [khyd gsod/ 퀻 ㄱ솓]

 

경멸(輕蔑)’멸시(蔑視)’이니 우리말은 가볍게 보다이고 한자어는 경시(輕視)’인 것입니다.

 

볼 시()’이니 ㅄ 이 ㅎㅅ 된 후 ㄱㅅ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ㅂ이 탈락 되 듯 ㄱ이 현 티벳어에 탈락된 것입니다.

 

 

ཁྱད་ གསོད་ བྱེད [khyä f sö h jew/ 쾌 쇠 유]

소리 상 문자 표기: [khyd gsod byeda/ 퀻 ㄱ솓 붸다]

동사형에 ‘-하다를 붙인 것입니다.

 

 

ㅄ 이 ㄱㅅ 된 정확한 자료가 다음 쪽에 있습니다.

ཁྱད་ བསད་ བྱེད [khyä f sä h jew/ 쾌 새 유]=경멸하다, (곤란을 극복하다)

소리 상 문자 표기: [khyäd bsäd byeda/ 퀻 ᄡᆞᆮ 붸다]

 

보다의 ㅄ과우리말 의 ㄷ 이 문자로 정확히 남아 있습니다. བསད་ [bsäd], 게다가 우리 한들 아래 오/아의 점은 []에 가까운 []인데 티벳어 오른쪽 위 점도 [ä]로 표기해서 같은 소리임을 알 수 있습니다. བསད་ [bsäd]를 현 우리 한글 모습으로 표현하자면 ㅯᄃᆞ정도로 인데 과연 처음 만든 한글이라 볼 수 있을까요? 두 번째 ㅂ 이 살아 있는 한자어가 극복(克復)하다인 것입니다.

 

 

 

영어 단어로 disdain/dispise 라하니, disdi 가볍다의 ㄱ 의 ㄷ 이고, ‘보다에서 ㅳ의 ㄷ이 dain 이고, ㅽ에서 spect spise 가 되는 것입니다.

 
<<이전 보다 공부>>---------------------------------------------------------------

 

 

눈 목(), eye/view, 보다, 목격(目擊)하다, 목도(目睹)하다 티벳어 고찰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743>>

 

མིག ( དམིག)[mi h/h]=, ()

문자상 소리 표기:[ mig(dmig)/(ㄷ믹)]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문자상 소리나는 것은 한자어 ()’인데 한자어에서 넘어 온 것이 아니라 원래 고대에 ᄆᆞퟛ이라 한것이고, 티벳어는 ㄷ믹()’으로 나타난 것이고, 한자어는 이고, 일어는 []이고, 영어 단어는 meye에서 eye 된 것으로 한자어 ()’과 일치하는 것입니다. 또 우리말로 눈으로 보다이니 합용 병서 ㅂㄴ에서 나온 우리말이니 원래는 ㅂㆁ 이 최고 고대 음가였습니다. 그러니 ㅂㆁ 이 ㅎㆁ/ㆁㆁ 된 후 ㄷㅁ 되어 나타난 것이 티벳어였다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즉 ㅂ에서 나온 ㅁ이라 해도 크게 틀리지 않지만 이 같은 경우는 ㆁ에서 나온 ㅁ 이라 하면 더 정확한 해석입니다.

 

다음 보다라는 동사를 살펴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744>>

མིག ( དམིག) ལྟ ①[mi g f t ə f/f f]<명사> 보살핌, 관리 [mi h taf/h f]<동사> 보다

མིག ( དམིག) ལྟ བྱེད[mi g f t ə f jew/f f ]=돌보다, 보살피다, 관리하다, 조심하다, 지켜보다, 맡아보다

문자상 소리 표기:[ mi g f t ə f byed/ f f 붸다]

 

명사와 동사가 같이 사용된 경우인데 여기서 우리말 종성 ㅪ/ㄹㅌ에 해당하는 티벳 문자를 만나게 됩니다. 명사도 되지만 동사가 될 경우 [h f]는 바로 우리말 보다가 되는 것입니다. 이를 탐조하면 우리말 보다볼다/보ᇎ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티벳어 ལྟ 은 종성 ㄹㆁ의 변음이라 볼 수도 있고, 원래 ㅄㆁㄹㆁㆁ에서 변한 한 마디의 소리인데 ㅄㆁ 이 모두 탈락 한 후 나타난 2번째 마디라 볼 수도 있습니다. 즉 아래에 나오는 목도하다부분의 생략형입니다. 동사형에는 བྱེད[붸다]’를 붙입니다.

 

མིག ( དམིག) ལྡིར[mi h dir v/h v]=주목, 응시, 주시

문자상 소리 표기: [mig(dmig) ldir/ (ꥠᅵᆨ) ꥦᅵᆯ]

 

사전 의미 설명에는 없지만, 한자어 목돌’, 목도(目睹)’의 고어 형태가 정확히 남아 있습니다.

 

 

མིག ( དམིག) ལྡིར་ ནས་ ལྟ[mi h dir v nä taf/h v 뇌 타f]=주시하다, 응시하다, 눈을 부릅뜨고 보다

문자상 소리 표기: [mig(dmig) ldir ns lt/ (ꥠᅵᆨ) ꥦᅵᆯ ㅧ ㄹㅌ]

 

‘-하다부분이 ནས་ ལྟ[nä taf]인지 ལྟ[taf]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한자어 ---가 나온 곳입니다.

 

다시 743쪽입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743>>

 

མིག ( དམིག) རྒྱ [mig f gyə f/f f]=안목, 식견, 관찰력, 관점, 시계(視界), 시야(視野)

문자 상 소리 표기:[ mig(dmig) rgy/ (ꥠᅵᆨ) ꥤᅱ]

 

한자어 목견(目見)목격(目擊)’이 된 단어로 동의어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ㅯ에서 시계(視界)’가 됩니다.

 

མིག ( དམིག) རྒྱང [mig f gyaŋh /f h]=안목, 식견, 관찰력, 관점, 시계(視界), 시야(視野)

 

위 단어에서 안 나타난 종성 [주로 종성 ㅇ 표시]이 있어 종성 ㄱ과 ㄴ 이 되어 목견(目見)목격(目擊)’의 표현으로 나타납니다.

 

 

མིག ( དམིག) སྔར [mi f ŋar f/f ᅌᅡᆯ f]=눈앞, 지금, 현재, 목전(目前)

문자상 소리 표기:[ mig(dmig) sŋar/ (ꥠᅵᆨ) ㅅᅌᅡᆯ]

 

앞 전()’의 출처를 알 수 있는 단어인데, ㅅㆁ에서 ㆁ이 ㅇ 되면 이 되고 ㅅㆁ이 ㅅㅎ을 거져 혹은 바로 ㅈ 되어 ()’이 되는 것입니다. 물론 ㅂ에서 ㅇ 되었다 해도 큰 차이는 없지만, ㅄㆁ에서 ㅂ과 ㅅㆁ으로 분리된 후 앞 전()’이 된다고 보면 우리말-한자어구조가 되기도 합니다. 티벳어에 기준을 두면 ㅅㆁ의 ㆁ이 기준 초성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