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괴나무/머귀나무/머귀나ᇚ/동ᄇᆡᆨ=오동나무

2022. 8. 28. 17:04우리 옛말 공부

머괴나무/머귀나무/머귀나ᇚ/동ᄇᆡᆨ=오동나무

 

역시 우리말 초성 ㅁ이 ㅇ 되고, ㄱ이 ㄷ과 교차된 표현이 한자어 오동(梧桐)’입니다. 나무 이름조차 원래 고대 한국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는데 그때 오동나무머굏나무혹은 머됳나무라고 했을 수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역시 우리 옛말 동ᄇᆡᆨ이 증언하는데 동백(冬柏)나무가 아니라 머됳에서 탈락 후 이 된 것이고, ‘ᄇᆡᆨ이란 나무앞에 붙는 ㅂ의 ᄇᆡᆨ입니다. 그러니 여기 ᄇᆞᆨ에서 한자어 ()’이 나오게 되는 이치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한자어 오동나무 동()’도 원래는 우리 옛말 동ᄇᆡᆨ에서 나온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일어 단어 きり/[키리]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 옛말 머괴나무‘머탈락 후 에서 기리’-->‘키리가 됩니다.

 

영어 단어로 royal foxglove tree라 하거나 paulownia[포로-니아]라고 하니 ㅁ-/ㄷ 이 ㅍ-ㄹ 된 단어입니다.

 

독어 단어로 Paulownia[파우로우니아]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오동나무라는 한자어에 밀려 사용되지 않은 우리 옛말 머괴나무/머귀나무/머귀나ᇚ/동ᄇᆡᆨ에 인류 고어의 깊은 이치를 담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는 고대 한국인들이 이 머괴나무를 이용해서 다양한 목제품을 만들었다라고 어렵지 않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