긔ᄯᅩᆼ=고작/기껏, ᄇᆞᄅᆞᆮ/계오/계우=겨우
2022. 8. 24. 06:03ㆍ우리 옛말 공부
긔ᄯᅩᆼ=고작/기껏, ᄇᆞᄅᆞᆮ/계오/계우=겨우
두 번째 초성 ㅼ이 ㅈ 되어 ‘고작’이 되고, ㅼ에 상응하는 ㅺ에서 ‘기껏’의 ‘껏’이 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합용 병서 공부가 잘 나타난 단어입니다.
‘기껏해야’를 한자어로 ‘과즉(過則)’이라 하니 역시 우리말 ‘고작’을 그대로 흉내 낸 한자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는 ㄱ이 ㅈ 된 ㅈ의 just이고, ㅂ에서 barely가 되고, 주로 at most/at best가 됩니다. 일어 단어로 やっと[얏토]라고 하니 초성이 생략된 것이고, たかだか/高高[타카다카] 혹은 せいぜい/精精[세이제이]라고 합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조치/조치/셰=세로 (0) | 2022.08.24 |
---|---|
긧발=깃발 (0) | 2022.08.24 |
긔저리다/어즈러이다=어지럽히다 (0) | 2022.08.24 |
긔록ᄒᆞ다=기록(記錄)하다 (0) | 2022.08.23 |
긔디ᄒᆞ다=기억(記憶)하다 (0)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