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희다=끄르다, 풀다

2022. 8. 22. 12:20우리 옛말 공부

글희다=끄르다, 풀다

 

'글희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풀다벗다/벗기다의 ㅂ이 ㅍ 된 것이고, ㅎ 되면 ()’가 됩니다. ‘끄르다는 보나 마나 합용 병서 ㅺ 초성인데 첫 옛말은 글희다/그르다이지만, 19C에 곧 ᄭᅳ르다가 됩니다.

 

영어 단어는 ㅅ에서 slip 되고, un-을 붙여 undo/untie/unfasten이 됩니다.

 

일어 단어로 풀다とく/[토쿠]라고 훈독하니 이는 ㅲ에 상대하는 ㅳ에서 나온 일어 훈독으로 ㄷ/ㅌ은 우리말 떼다에 해당합니다. ‘떼다/끄르다/벗다/풀다はずす/[하즈스]라고도 훈독하니 ㅂ-ㅺ이 ㅎ-ㅈ된 형태입니다.

 

독어 단어로 ‘(띠를)풀다/끄르다ạbgürten[압귀르턴]이라 하니 ㅂ-ㄱ이 ㅇ-ㄱ 된 형태이고, 독어 단어로 풀다/끄르다/나누다lösen[뢰전]이라고도 하니 ㄱ/ㄷ이 ㄹ 된 단어입니다.

 

'끄르다': 네이버 힌디어사전 (naver.com)

끄르다의 힌두어는 खोलना[콜나]이니 우리말 끄르다의 원형 골다에서 거의 그대로 콜나가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