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가ᄫᅵ/가ᄌᆞ기=가까이

2022. 7. 26. 18:27우리 옛말 공부

갓가ᄫᅵ/가ᄌᆞ기=가까이

 

'갓가':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두 번째 초성이 ㅺ이었으니 옛말은 ᄌᆞ이고, 현 표준어는 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깝다의 방언에 가적다/가잡다가 나오고, ㅊ 되면 가찹다가 되는 것입니다. 특별히 ‘-하다가 그대로 남은 가깜하다라는 평북 방언도 있습니다. 한자어 근접(近接)하다의 경우를 보면 ㄱ은 이고, ㅺ은 ㅈ의 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평북 방언 가깜하다그대로 근접하다인 것입니다. 우리말 방언의 가잡다의 원말 가잡하다그대로 근접하다인 것입니다. 한자어라고 알고 있는 말이 원래 우리말임을 충분히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 부사형을 만드는 ‘-ᄫᅵ/-의 경우에도 원래는 ㅲ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ㅲ에서 ㅂ이 ‘-ᄫᅵ된 후 ‘-/-로 나타난 것이 현재 우리말 부사형 꼬리말인 것입니다. 그러니 자주 ‘-인지 ‘-인지 헷갈리는 이유가 고대 우리말의 같은 소리에서 나왔기 때문입니다.

 

영어 단어로 close (to)/nearby/close by/near라 하는데, 우리말 초성 ㄱ은 close가 되고, ㄴ되어 near가 됩니다. 일어 단어로 ちかい[치카이]라 하니 갓가ᄫᅵ의 ㄱ이 원래 ㅺ이었고 ㅈ된 후 일어 소리 ㅊ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ᄫᅵ는 ㄱ에서 ㅋ 되어 ‘-카이가 됩니다.

 

'족것디':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이는 제주 방언 족것디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첫 초성이 합용 병서 ㅺ이었기에 가능한 방언으로 ㅺ이 ㅈ 되어 제주 방언 족것디가 되고, ㅈ 다음 ㅊ이니 일어 단어 치카이가 되는 것입니다

 

독어 단어로 nahe[나어]라고 하는데 영어 단어 near에 그대로 대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