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다’의 변화형 ‘-ᄧᅳ다’ ‘-브다’ ‘-프다’ 고찰을 통한 고어 서술형 꼬리말 확인

2022. 7. 24. 19:12하늘첫말

 

‘-하다의 변화형 ‘-ᄧᅳ다’ ‘-브다’ ‘-프다고찰을 통한 고어 서술형 꼬리말 확인

 

현재 표준어 가냘프다’ ‘슬프다’ ‘배고프다’ ‘구슬프다’ ‘아프다‘-프다는 어디에서 온 것일까요?

 

'가냘프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정답은 가냘프다의 옛말 ᄀᆞᄂᆞᆺ브다에 정답이 들어 있습니다. 분명히 ‘-브다에서 ‘-프다가 됩니다.

 

'가비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다른 예가 하나 더 있습니다. ‘비교하다/비유하다의 옛말 가ᄌᆞᆯ비다‘-비다입니다.

다음 ‘-브다/-비다는 어디에서 왔을까요?

 

 

 

 

'견조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정답은 견주다의 옛말 견조ᄧᅳ다에 정답이 있습니다. ‘-ᄧᅳ다에서 ‘-브다가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ᄧᅳ다에서 ‘-브다ᄒᆞ다/-하다로 분리 된 것입니다.

'뻔말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전북/전라 방언에 뻔하다뻔말다가 있으니 ‘-브다말다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랑스럽다’ ‘자랑스럽다‘-스럽다를 보면 ‘-ᄧᅳ다‘-ᄡᅳ에서 온 것이고, ‘반짝거리다’‘중얼거리다‘-거리다를 보면 ‘-ᄧᅳ다‘-ᄞᅳ에서 온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최종 ‘-ᄢᅳ다가 고어의 꼬리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ㅄㄱ에 상대하는 ㅄㄷ은 

‘-대다로서 미적대다’ ‘수군대다’ ‘꾸물대다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이렇게 공부하는 것이 언어과학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