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성이 표현하고자 하는 인류 고용어의 존재

2022. 7. 3. 10:56하늘첫말

/ㅵ 도 인류 고어임을 확인할 수 있지만, 티벳어도 3개의 초성을 많이 지니고 있어 그 우열을 논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우리말 종성에 ㄼ/ㅀ 이 우리말 표식으로 남아 있는데 특히 ㄼ은 우리말이 최고 고어임을 확인시켜주는 표식-요즘 말로 싸인-인 것입니다.

 

 

밟다, 넓다, 갋다(괴다 의 제주 방언), (삽의 옛말) .

'갋다':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ㄼ이 ㄻ 된 것이 현 우리말 단어에 남은 종성 표식입니다.

괴다의 제주 방언 갋다의 종성 ㄼ을 보면 우리 고어는 괿다였고 이 종성 표현을 거의 그대로 가진 방언이 제주 방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의 우리 옛말 을 보면 종성 ㄼ이니 결국 제주 방언이 우리 옛말과 종성 ㄼ에서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삶다, 닮다, 옮다, 젊다 등

 

그러면 ㄼ/ㄻ에서 ㄹ 탈락 된 것이 현 한국어 단어에 상당 수를 차지하는 종성 ㅂ/ㅁ 이 되고 ㅂ/ㅁ 탈락하면 종성 ㄹ만 남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종성을 고찰해보면, 바로 현 한국어가 고대 인류 공용어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늘첫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방언: 북따까리=북바늘  (0) 2022.07.03
평남 방언: 북다리=넓적다리  (0) 2022.07.03
나무 그리고 그루  (0) 2022.07.02
분과 병 고찰  (0) 2022.07.02
경남 방언: 부트다=저리다  (0) 202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