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형 + 하다 의 구체적인 예

2021. 12. 7. 21:39우리 옛말 공부

명사형 + 하다 의 구체적인 예

 

겨루다의 옛말은 겻구다이고,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301f35528b04d65b4b961f337185134

 

https://ko.dict.naver.com/#/entry/koko/f114ab104c14456b9d65f7c068238405

다른 표현으로 겨룸하다가 있습니다. 완전히 한자어 + 하다처럼 우리 고유어 명사 겨룸하다가 결합된 것입니다. 그러면 겻구다는 원래 곃굼-하다였습니다. ‘--되어 경쟁(競爭)하다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싸우다싸움명사형에서 하다를 더한 싸움하다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투다다툼하다라고도 하니, ‘자리다툼하다라고 합니다. 원래는 다둠하다의 ㄷ-ㄷ 이었다가 -되니 투쟁(鬪爭)하다가 되는 것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a97e34e1f384385815f49a30e225d94

다툼그대로 한자어가 되기도 하는데 ㄷ 이 ㅈ 되어 쟁투(爭鬪)’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말 안에 이미 명사 + 하다란 구조가 원래 깔려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워하다도 원래는 미움하다였고, ‘싫어하다도 원래는 싫움하다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싫움하다의 ㅅ-ㅇ 이 ㅈ-ㅇ 되면, ‘증오(憎惡)’하다가 되는 것입니다.

좋아하다좋음하다였고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3493bcbb3874bc79d8dd6590d72aab8

함경 방언에 고바하다가 있으니, ‘고븜하다의 ㅂ에서 ㅎ 의 호 ()가 되는 것입니다.

고바하다에서 나온 우리말 표준어가 기뻐하다이고 기뻐하다의 옛말은 깃거하다입니다. 두 번째 초성이 ㅲ 합용병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