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29. 22:53ㆍ우리 옛말 공부
티벳어에 나타난 ㅴ 과 ㅵ 고찰
앞에서 몇 단어 ㅴ/ㅄㅋ 과 ㅵ을 고찰해 보았습니다. 2개의 합용병서는 다양하게 변하여 우리보다 양이 많습니다. 3개의 합용병서가 근원이니 티벳어에 어떻게 남아 있나 보겠습니다. 우리 한글은 ㄱ에서 ㅋ 인데, 티벳어는 ㅋ 다음 ㄱ입니다. 그래서 ㅄㅋ 의 음가가 ㅴ 보다 사전 앞에 있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116~121쪽>>
ㅄㅋ 여러 단어 중 한 단어만 선정해서 우리말과 발음 비교를 해 보겠습니다.
ㅄㅋ 여러 단어 중 한 단어만 선정해서 우리말과 발음 비교를 해 보겠습니다.
བསྐྱར [kyä f/ 쾌 f]= སྐྱར
문자 상 소리 표기는 ‘bskär/ ㅄ캘’ 인데, ㅄ 이 다 생략되고 소리는 ㅋ 만 남았습니다. 당연히 동의어는 ㅂ 탈락 한 문자 skär 이 되는 것입니다. ㅂ 탈락 후 ㅅ 탈락 후 ㄱ이 ㅋ 된 상태로 남게 된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소리 변화 고찰을 위한 것이라 뜻은 생략하였습니다.
다음 ㅴ을 살펴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93-294쪽>>
티벳 사전에 보면, ㄱ 다음 ㅺ, 다음 ㅲ, 다음 ㅴ 이 문자로 사전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ㅴ을 보겠습니다. 이미 ‘개조하다/ 개혁하다’에서 공부한 단어입니다.
བསྒུར་ བཀོད་ བྱིད [gyunkohjew][귄 코휴-]=개조하다, 개혁하다
문자 상의 소리 표기: [bsgyur(h) bkod(h) buida/ ᄢᅱᆯ ꥳᅬᆮ 뷔다]
문자로는 ㅴ 이 남고, 소리로는 ㄱ 만 남아 있는 자료입니다. 이 བསྒུར་ 만 보드라도 동의어에 སྒུར을 적어두고 있습니다. 역시 ㅂ 탈락 후, ㅅ 탈락 후 ㄱ 만 남게 되는 것인데 우리말과 동일한 변음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다음 ㅵ입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566-567쪽>>
བསྡམ [ dam w/ 담 w]= སྡོམ
문자상 소리 표기는 ‘bsdam/ ᄣᅡᆷ’이고 동의어는 ㅂ 탈락 한 후 모음이 변화된 ‘sdom/ ᄯᅩᆷ’이 됩니다. 실제 소리는 ㅄ 이 모두 탈락 하고 ㄷ 만 남게 됩니다. 역시 소리 고찰이므로 뜻은 찾지 않았습니다.
다음 ㅵ에서 나온 ㅄㅌ을 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468-469쪽>>
བསྟར [ta f (tar f)/ 타 f(탈 f)] = སྟར
문자 상 소리 표기는 ‘bstar/ ꥲᅡᆯ’인데 ㄼ 의 변음 rf 가 다시 살아나기도 합니다. 동의어를 보면, 역시 ㅂ 탈락 한 문자 표기가 나오고 최종 ㅄ 탈락 한 ㅌ 이 나오게 됩니다. 역시 우리말 3개 합용병서 ㅵ에서 ㅄㅌ 된 정확한 자료입니다. 소리 연구이므로 뜻은 찾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우리말 3개 합용병서 ㅴ 과 ㅵ 이 그대로 티벳어에 있고 변화된 ㅄㅋ 과 ㅄㅌ 도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대 한민족과 티벳족은 같은 ㅴ 과 ㅵ에서 출발한 어족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부계 유전자로 아시아형 Y* /BT/CT 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
위키피디아 참조했습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해(海), sea, 그리고 티벳어 고찰 (0) | 2021.12.01 |
---|---|
비기다=비교하다, 비고하다 입증 추가 (0) | 2021.11.30 |
2. 물 마시다. (0) | 2021.11.29 |
한국식 한자어와 중국식 한자어 구별 (0) | 2021.11.29 |
훈민정음 예의편(例義篇)의 종성 ㄼ 위주의 한자음 고찰 (0) | 2021.11.24 |